목록SF & 판타지 (1275)
SF 생태주의
※ 이 게시글에는 영화 의 치명적인 결말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 는 타임 슬립 이야기입니다. 영화 주인공 길 펜더는 잘 나가는 할리우드 각본가입니다. 하지만 길 펜더는 할리우드 각본가에 만족하지 못하고 본격적인 예술가가 되고 싶어합니다. 길 펜더는 소설 창작에 도전합니다. 약혼자 이네즈는 길 펜더가 계속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업에 종사하기 원하나, 길 펜더는 1920년대 파리 예술계를 동경합니다. 1920년대 파리 예술계의 여러 서구 예술가들은 길 펜더의 로망입니다. 이런 길 펜더에게 이네즈의 친구 폴 베이츠는 뭔가 불편한 지식인입니다. 폴 베이츠는 상당한 문화 예술 지식들을 늘어놓습니다. 하지만 길 펜더는 폴 베이츠가 진짜 지식인보다 (지식인인 척하는) 사이비에 가깝다고 느낍니다. 길 펜더는 특별하게 의..
비디오 게임 은 게임 플레이어가 과학자가 될지 신이 될지 묻습니다. 은 이른바 신 게임(god game) 장르이고, 게임 플레이어는 정말 신이 되고 생명 현상을 창조합니다. 게임 플레이어는 자연 생태계를 조절하고, 생명 진화를 통제하고, 새로운 세상을 이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은 생태계 시뮬레이션 게임과 비슷하나, 은 자신이 신 게임이라고 말합니다. 게임 플레이어들 역시 여기에 반박하지 않을 겁니다. 스팀 플랫폼에서 에는 신 게임 태그가 붙어있습니다. 동시에 은 생태계 시뮬레이션 게임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어가 생명 진화를 통제하기 때문에, 은 사이언스 픽션 느낌을 풍깁니다. 이 보여주는 것처럼, 신 게임은 생태계 시뮬레이션이 되고 동시에 사이언스 픽션이 될 수 있습니다. 1990년 게임 ..
[이런 시도는 그저 얄팍하고 공허한 담론에 불과합니다. 그렇다고 해도 여기에는 작은 가치가 있을 거에요.] 예전에 듀나님이 소설 서평을 썼을 때, 듀나님은 백인 남자가 사이언스 판타지의 표준 설정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문학 및 소수 민족 연구자 셸리 스트리비는 사이언스 픽션이 오직 백인 남자만을 반영해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왜 백인 남자가 사이언스 판타지의 표준 설정인가요? 왜 사이언스 픽션이 오직 백인 남자만을 반영해서는 안 되나요? 19세기 유럽에서 사이언티픽 로망스가 나타났기 때문에, 사이언스 판타지의 표준 설정이 백인 남자인가요? 미국 출판 시장은 숱한 사이언스 픽션들을 쏟아냅니다.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표준적인 미국 사람은 백인 남자입니다. 거의 대부분 미국 대통령들은 백인 남자들입니다..
소설 시리즈에서 소설 주인공은 이사벨라 스완입니다. 이사벨라 스완은 이야기를 이끕니다. 동시에 이사벨라 스완은 소설 화자입니다. 벨라는 소설 주인공이고 동시에 소설 화자 '나'로서 이야기를 이끕니다. 그래서 독자가 시리즈를 읽는 동안, 독자는 이사벨라 스완에게 감정을 이입해야 합니다. 적어도 독자는 이사벨라 스완과 가상의 사회적인 관계를 맺고 이사벨라의 시선을 이용해 소설 속의 세계를 들여다봐야 합니다. 벨라는 속의 세계를 들여다보기 위한 창문입니다. 독자가 이사벨라라는 창문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독자는 속의 세계에 접근하지 못합니다. 이건 독자가 반드시 이사벨라 스완에게 매달려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독자가 1인칭 시점 소설을 읽는다고 해도, 독자는 소설 화자 '나'를 비판할 수 있습니다. 독자가 소..
2014년 영화 에서 어떤 꼬마는 고지라가 공룡이라고 말합니다. 텔레비전이 고지라를 보여줄 때, 꼬마는 텔레비전을 보고 공룡이 나타났다고 말합니다. 텔레비전 앞에는 티라노사우루스 장난감과 스테고사우루스 장난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꼬마는 고지라가 공룡이라고 착각했는지 모릅니다. 아니면 꼬마가 공룡 장난감들을 좋아했기 때문에, 꼬마는 고지라가 공룡이라고 착각했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꼬마가 고지라를 공룡이라고 부른다고 해도, 이게 정말 착각인가요? 정말 꼬마가 착각했나요? 오직 영화 속의 (어리고 순진한) 등장인물만 고지라가 공룡이라고 오해하나요? 사실 현실 속에서 공룡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혼다 이시로를 비롯해 영화 제작자들은 1954년 영화 를 만들지 못했을 겁니다. 고지라를 디자인하기 위해 영화 제작자..
어슐라 르 귄이 쓴 에서 소설 주인공은 노동자 평의회 사회에 속합니다. 소설 주인공이 자본주의 국가로 건너간 이후, 사회주의자로서 소설 주인공은 여러 모순들을 경험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은 계급 차별이 아무렇지 않다고 여깁니다. 빈부 격차는 당연합니다. 당연히 누군가는 엄청난 부를 차지해야 하고, 당연히 누군가는 굶주려야 합니다. 자본주의 학자들은 소설 주인공에게 비참한 가난들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자본주의 학자들은 오직 부유하고 화려한 것들만 보여줍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소설 주인공은 몰래 탈출해야 했습니다. 현실 속의 자본주의 강대국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자본주의 강대국들은 현실을 왜곡하고, 자본주의가 저지르는 범죄들을 감추고, 오직 좋은 것들만 보여줍니다. 자본주의 강대국들은..
※ 이 게시글에는 비디오 게임 의 내용 누설(챕터 2 현상금 퀘스트)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삼림 레인저들은 선한 역할입니다. 만약 삼림 레인저들이 과격해진다면, 이게 폭력일까요?] 비디오 게임 는 크게 네 챕터들로 이루어집니다. 챕터 2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항구 도시 포트 라스트에 방문합니다. 포트 라스트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현상금 퀘스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네 수감자들이 도망쳤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가 챕터 2를 진행하는 동안, 여기저기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네 수감자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어는 수감자들과 싸우고, 그들을 체포하고, 현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감자들이 꼭꼭 숨었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는 사방을 돌아다녀야 합니다. 광활한 숲과 여러 건물들과 깊은 동굴들에서 네 수감..
[SF 작가는 외계 버섯 생태계를 직접 겪지 못합니다. 작가가 외계 버섯 생태계를 상상하지 말아야 하나요?] 는 소설 창작 안내 서적입니다. 에서 작가 김탁환은 어떻게 작가가 소설을 쓰는지 소개합니다. 김탁환은 소설 창작 과정을 크게 네 부분들로 나눕니다. 첫째 부분에서 김탁환은 소설과 이야기가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소설을 쓰기 전에, 작가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느껴야 합니다. 둘째 부분에서 작가는 본격적으로 판을 벌이기 시작합니다. 작가는 자료들을 모르고, 답사를 떠나고, 초고를 준비합니다. 둘째 부분에서 작가는 아직 소설을 제대로 쓰지 않으나, 본격적인 소설 쓰기처럼 이런 준비 과정은 중요합니다. 준비 과정이 어긋난다면, 작가는 돌이키지 못하는 강을 건널지 모릅니다. 심지어 작가는 소설을 통째로 고치거..
※ 이 게시글은 노라 제미신이 쓴 의 아주 치명적인 결말을 포함합니다. 소설은 글자들입니다. 글자들은 소설을 구성합니다. 이사벨 아옌데가 쓴 은 세계적인 문학이나, 소설 은 물리적으로 하얀 종이 위의 검은 글자들입니다. 하루 종일 독자가 두 눈을 부라리고 을 읽는다고 해도, 독자는 하얀 종이 위의 글자들을 읽어야 합니다. 이사벨 아옌데의 다른 소설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사벨 아옌데가 열대 밀림 속의 마법 재규어를 쓴다고 해도, 독자는 마법 재규어를 시각적으로 구경하지 못합니다. 독자는 글자들을 읽고 마법 재규어를 상상해야 합니다. 문제는 글자들이 추상적이라는 사실입니다. 비단 글자들만 아니라 언어는 추상적입니다. 우리는 언어를 이용해 소통하나, 언어는 추상적이고 사물, 사건, 현상, 대상을 직접 가리..
[소녀와 소년은 도둑과 탐정이 되고, 도둑과 탐정의 숨바꼭질은 사랑의 숨바꼭질을 비유합니다.] 다치가와 메구미가 그린 만화 은 로맨스 장르입니다. 당연히 로맨스 장르는 연인을 보여줘야 할 겁니다. 로맨스 장르로서 에서 두 주연은 하네오카 메이미와 아스카 다이키입니다. 양쪽은 같은 학급 학생이나, 사이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하네오카 메이미는 아스카 다이키에게 시비를 걸곤 하고, 아스카 다이키는 하네오카 메이미에게 쏘아붙이곤 합니다. 메이미와 다이키가 대화를 시작할 때, 학급 친구들은 양쪽이 또 다시 싸울 거라고 예상하고, 이런 예상은 별로 틀리지 않습니다. 하네오카 메이미와 아스카 다이키는 비단 같은 학급 학생으로서만 아니라 도둑과 탐정으로서도 정말 경쟁 상대입니다. 사실 하네오카 메이미는 단순한 학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