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SF 생태주의

<니베르네의 경작>과 환경 아포칼립스 본문

SF & 판타지/어떻게 읽는가

<니베르네의 경작>과 환경 아포칼립스

OneTiger 2021. 10. 20. 20:00



"밤하늘에서 별빛은 조용하게 속삭였다." 이 문장은 별빛에게 입이 있다고 설명하지 않습니다. 인간에게 입이 있기 때문에, 인간은 조용하게 속삭입니다. 만약 별빛이 속삭인다면, 인간에게 입이 있는 것처럼, 별빛에게 입이 있나요? 그건 아닙니다. 별빛에게는 입이 없습니다. 이건 불가능합니다. 이 문장은 별빛이 속삭였다고 표현하나, 이건 비유입니다. 이건 밤하늘에서 별빛이 가물거린다고 비유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문장을 읽고 별빛에게 입이 있다고 해석한다면, 이 해석은 오류에 가까울 겁니다. 만약 이 사람이 가물거리는 별빛을 해석한다면, 이 해석은 타당할 겁니다.

 

별빛에게 입이 없기 때문에,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문구를 읽고 별빛에게 입이 있다고 해석한다면, 이 해석은 문장 의도를 빗나갈 겁니다. 이건 언제나 이 해석이 오류라는 뜻이 아닙니다. 만약 이 문장이 비(非)현실 세계를 설정한다면, 별빛에게는 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환상 문학 속에서 별빛에게는 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 문장이 비현실 세계를 설정하지 않는다면, 별빛에게는 입이 없을 겁니다. 별빛에게 입이 없기 때문에, 이 문장은 별빛이 속삭였다고 설명하지 않습니다. 이건 문장 의도가 아닙니다. 문장 의도는 비유입니다. 이 문장에게는 비유라는 의도가 있습니다.



"밤하늘에서 별빛은 조용하게 속삭였다." 이 문장에게 비유라는 의도가 있기 때문에, 만약 어떤 사람이 이 문장을 해석한다면, 이 사람은 설명보다 비유를 해석해야 합니다. 이 사람이 비유를 해석하기 때문에, 이 해석은 타당합니다. 만약 이 사람이 별빛에게 입이 있다고 해석한다면, 이 해석은 문장 의도로 이어지지 못할 겁니다. 이 해석이 문장 의도를 빗나가기 때문에, 이 해석은 오류에 가깝습니다. 이 사례가 보여주는 것처럼, 어떤 표현에게는 의도가 있습니다. 표현에게 의도가 있기 때문에, 인간이 표현을 해석할 때, 인간은 의도를 파악합니다. 해석에서 중요한 것은 '의도'입니다.

 

우리가 표현을 해석할 때, 중요한 것은 의도입니다. 우리는 뭐라고 표현이 의도하는지 파악합니다. 독자와 소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독자는 뭐라고 작가가 의도하는지 파악합니다. 만약 작가 의도에서 독자가 너무 벗어난다면, 이건 오류에 가까울 겁니다. 작가는 소설에게 특정한 주제를 집어넣었을 겁니다. 독자는 이 주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독자가 소설 작가 의도를 파악할 때, 이건 올바른 독서가 됩니다. 비단 소설만 아니라 다른 형식들, 다른 매체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형식들, 다른 매체들에게도 특정한 의도가 있습니다. 우리가 이것들을 해석할 때, 우리는 의도를 파악합니다.



1849년, 로사 보뇌르는 <니베르네의 경작 Labourage nivernais>을 그렸습니다. (링크) <니베르네의 경작>은 전형적인 프랑스 시골을 사실(주의)적으로 표현합니다. 이 그림은 구체적이고 세밀한 장면들을 지나치지 않습니다. 소의 침방울부터 흙고랑까지, 이 그림은 세밀합니다. 우리는 로사 보뇌르가 이것들을 의도했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니베르네의 경작>을 보고 이것들을 해석한다면, 이건 타당한 해석일 겁니다. 이 해석과 달리, 우리는 그림 세계에서 어떤 유전 공학자가 개조 식물들을 키운다고 해석하지 않습니다. 로사 보뇌르는 유전 공학과 개조 식물들을 의도하지 않았을 겁니다.

 

우리는 로사 보뇌르가 서구 시골 풍경과 사실(주의)적인 그림체를 의도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리기 위해 뭐라고 로사 보뇌르가 의도했는지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우리는 로사 보뇌르가 바이오펑크, 유전 공학, 개조 식물들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어떤 것을 해석할 때, 해석은 두 가지가 됩니다. 우리는 뭐라고 로사 보뇌르가 의도했는지 해석할 수 있고, 한편으로 우리는 뭐라고 로사 보뇌르가 의도하지 않았는지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건 일반적이고 핵심적인 해석입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해석할 때, 우리는 두 가지에게 기반합니다.



우리가 작품을 해석할 때, 우리는 뭐라고 작가가 의도했고 뭐라고 의도하지 않았는지 파악합니다. 이건 일반적이고 해심적인 해석입니다. 하지만 이건 전부가 아닙니다. 해석에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은 빗줄기들을 묘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그림 속의 세계에서 먹구름들은 빗줄기들을 뿌릴 겁니다. 우리는 그림 속의 세계에서 먹구름들이 빗줄기들을 뿌린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록 이 그림이 빗줄기들을 직접 표현하지 않는다고 해도, 우리는 빗줄기들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가 현실에게 기반하고 이 그림을 해석하기 때문입니다.

 

현실에서 먹구름들은 빗줄기들을 뿌립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현실에서 먹구름들은 빗줄기들을 뿌렸습니다. 먹구름들이 빗줄기들을 뿌리기 때문에, 지구 자연 환경에서 수분은 순환할 수 있습니다. 지구 자연 환경에서 수분이 순환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로사 보뇌르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이 자연 법칙은 존재했습니다. 로사 보뇌르보다 이 현실은 훨씬 원초적이고 훨씬 거대합니다. 이 현실 속에서 로사 보뇌르는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렸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보다 이 현실은 훨씬 거대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 그림을 해석할 때, 우리는 현실에게 기반합니다.



<니베르네의 경작>보다 현실이 훨씬 거대하고, 현실에서 먹구름들이 빗줄기들을 뿌리기 때문에, 우리는 현실에게 기반하고 이 그림을 해석합니다. 이 그림보다 현실이 훨씬 거대하기 때문에, 비록 이 그림이 빗줄기들을 표현하지 않는다고 해도, 우리는 훨씬 거대한 현실에게 기반하고 빗줄기들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로사 보뇌르는 빗줄기들을 그리지 않았으나, 로사 보뇌르는 이 해석을 거부하지 못합니다. 로사 보뇌르는 그림 속의 세계에서 먹구름들이 빗줄기들을 뿌린다고 인정해야 합니다. 만약 로사 보뇌르가 이것을 거부한다면, 이건 로사 보뇌르가 현실을 거부한다는 뜻일 겁니다.

 

로사 보뇌르가 현실을 거부하기 때문에, 이건 <니베르네의 경작>이 비현실 세계 설정에게 기반한다는 뜻입니다. <니베르네의 경작>이 비현실 세계에 속하기 때문에, 로사 보뇌르는 어떻게 수분이 순환하는지 설명해야 합니다. 하지만 로사 보뇌르는 비현실 세계를 의도하지 않았을 겁니다. 로사 보뇌르는 현실을 거부하지 않았을 겁니다. 비록 이 농업 그림이 빗줄기들을 표현하지 않는다고 해도, 로사 보뇌르는 현실을 인정할 겁니다. 로사 보뇌르가 거대한 기반(현실)을 거부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니베르네의 경작> 속의 세계에서 먹구름들이 시원한 빗줄기들을 뿌린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빗줄기들을 해석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은 수마트라 호랑이를 표현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우리가 이 그림을 열심히 노려본다고 해도, 우리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찾지 못합니다. 어쩌면 로사 보뇌르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알지 못하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니베르네의 경작> 속의 세계에서 수마트라 호랑이가 살아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수마트라 호랑이가 살아가고, 이 농업 그림보다 현실이 훨씬 거대한 기반이기 때문에, 비록 로사 보뇌르가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우리는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록 로사 보뇌르가 수마트라 호랑이라는 야생 동물을 알지 못했다고 해도, 우리는 거대한 기반, 현실에게 기반하고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수마트라 호랑이가 살아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록 화가가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화가 의도와 상관없이, 우리는 현실에게 기반하고 그림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수마트라 호랑이는 '작가가 의도하지 않았으나 작품 속에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작가(로사 보뇌르)는 수마트라 호랑이를 의도하지 않았으나, 작품(니베르네의 경작) 속에서 수마트라 호랑이는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열대 밀림과 수마트라 호랑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수마트라 호랑이가 살아가는 것처럼, 우리는 비록 작가가 의도하지 않는다고 해도 작품 속에서 어떤 것이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뭐라고 작가가 의도하는지 파악하고, 이건 가장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해석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것이 모범적인 해석이라고 간주합니다. 모범적인 독자는 뭐라고 소설 작가가 의도했는지 파악합니다. 한편으로 우리는 뭐라고 작가가 의도하지 않았는지 파악합니다. 첫째 해석 방법처럼, 이 둘째 해석 방법은 일반적이고 전형적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작가 의도보다 거대한 기반(현실)을 적용합니다.

 

작가보다 현실이 거대하기 때문에, 현실 속에서 작가가 작품을 만들기 때문에, 우리는 현실을 작품에게 적용합니다. <니베르네의 경작> 속의 세계에서 아르켈론이 진화했을까요? 아르켈론은 고대 바다 거북입니다. 어쩌면 로사 보뇌르는 아르켈론이라는 고대 거북을 알지 못하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로사 보뇌르가 아르켈론을 알지 못한다고 해도, 현실에서 생명 진화 역사가 흐르는 동안, 아르켈론은 진화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보다 현실이 훨씬 거대하기 때문에, 현실 속에서 로사 보뇌르가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렸기 때문에, 분명히 이 그림 세계에서 아르켈론은 진화했을 겁니다.

 

 

1849년, 로사 보뇌르는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렸으나, 1895년, 고생물학은 아르켈론을 분류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보다 늦게 고생물학이 아르켈론을 분류했기 때문에, 로사 보뇌르가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리는 동안, 로사 보뇌르는 아르켈론을 알지 못했을 겁니다. 로사 보뇌르가 아르켈론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로사 보뇌르는 이 고대 바다 거북을 의도하지 않았을 겁니다. 만약 작가가 의도하지 않기 때문에 작품 속에서 어떤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로사 보뇌르가 아르켈론을 의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이 고대 바다 거북이 진화하지 않았나요?

그건 아닙니다. 비록 로사 보뇌르가 아르켈론을 알지 못했고 아르켈론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현실에서 로사 보뇌르가 <니베르네의 경작>을 그렸고, 이 그림이 현실을 모방하고, 현실에서 아르켈론이 진화했기 때문에,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아르켈론은 진화했을 겁니다. 이 상황에서 <니베르네의 경작>은 로사 보뇌르 의도를 뛰어넘습니다. 작품은 작가 의도를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로사 보뇌르와 <니베르네의 경작>은 완전히 똑같지 않습니다. 작가와 작품은 얼마든지 다를 수 있습니다. (작가와 작품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작가에게서 작품이 떠난다'고 표현합니다.)



우리는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고대 바다 거북 아르켈론이 진화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거대한 기반, 현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현실을 적용하기 원한다면, 우리는 현실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우리가 현실이 무엇인지 파악할 때, 지배적인 관념은 우리 사고 방식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니베르네의 경작>은 1849년 프랑스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19세기 서구 사회에 속합니다. 19세기 서구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입니다. 서구 사회가 식민지들을 악랄하게 수탈했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막대한 이득을 얻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19세기 서구 산업 도시는 존재할 겁니다. 비록 <니베르네의 경작>이 19세기 산업 도시를 표현하지 않는다고 해도, 분명히 우리는 그림 세계에서 19세기 산업 도시가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도시는 자본주의 사회일 겁니다. 현실에서 19세기 서구 산업 도시가 자본주의 사회였기 때문입니다. 서구 사회가 식민지들을 악랄하게 수탈했고, 자본주의가 막대한 이득을 얻었기 때문에, 산업 자본주의 도시는 부유했습니다.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19세기 자본주의 도시는 존재하고, 자본주의 도시는 끔찍한 식민지 수탈에게 기생할 겁니다. 이 해석이 타당한가요?



아니, 보수 우파 지식인들은 이게 엉터리 해석이라고 반박할 겁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배적인 관념이 그들을 장악하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배적인 관념은 자본주의가 옳다고 세뇌합니다. 이 세뇌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 세뇌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보수 우파 지식인들은 자본주의가 옳다고 착각합니다. 보수 우파 지식인들이 자본주의가 옳다고 착각하기 때문에, 그들은 자본주의가 악랄한 식민지 수탈이라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보수 우파 지식인들이 식민지 수탈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니베르네의 경작> 속의 수탈을 해석하지 않습니다.

 

사회주의자들은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서구 자본주의가 제국주의이고 자본주의-제국주의가 식민지 수탈에게 기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보수 우파 지식인들은 이 해석에 반대할 겁니다. 해석 방법 그 자체가 잘못이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이 반대하나요? 그건 아닙니다. 사회주의자들과 보수 우파들이 현실을 합의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이 폭력적인 자본주의 수탈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이 자본주의가 옳다고 착각하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은 <니베르네의 경작> 세계에서 서구 자본주의가 제국주의이고 자본주의-제국주의가 식민지 수탈에게 기생한다고 해석하지 않습니다.



이 사례는 우리가 작품을 해석하기 전에 우리가 현실을 파악해야 한다고 보여줍니다. 작품은 현실을 초월하지 않습니다. 현실 속에서 작가가 작품을 만들기 때문에, 우리가 작품을 해석하기 전에, 우리는 현실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환경 아포칼립스들은 지구 생물권이 멸종한다고 묘사합니다. 왜 지구 생물권이 멸종하나요? 인류가 탐욕스럽기 때문에? 탐욕스러운 인류가 자연을 파괴하기 때문에, 지구 생물권이 멸종하나요? 하지만 자본주의는 식민지 수탈에게 기생합니다. 식민지는 피지배 계급입니다. 자본주의가 식민지 수탈에게 기생하는 것처럼, 자본가는 임금 노동자들을 착취합니다.

 

자본가가 임금 노동자들을 착취하기 때문에, 자본가는 지배 계급이고, 임금 노동자들은 피지배 계급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와 식민지 사회에서 여자들이 육아들을 '억지로' 맡기 때문에, 남자들은 여자들을 너무 무시합니다. 육아 노동이 댓가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남자는 지배 계급이고, 여자는 피지배 계급입니다. 이렇게 인류 문명에게는 수직적인 계급 구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들은 완전히 똑같지 않습니다. 우리가 환경 아포칼립스를 해석할 때, 우리는 계급 차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비록 SF 작가가 이것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SF 작가보다 현실이 거대하기 때문에, 이 해석은 오류가 아닙니다.



하지만 보수 우파들은 이 해석을 환영하지 않을 겁니다. 이 해석이 자본주의를 비판하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은 이 해석이 틀리다고 비난할 겁니다. 세계화 자본주의에서 가장 커다란 목표가 이윤이고, 오직 높은 이윤만 얻기 위해 세계화 자본주의는 지구 생물권을 파괴하나, 보수 우파들은 자본주의에게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기 원합니다. 자본주의 폭력을 은폐하고 환경 오염을 정당화하기 위해 보수 우파들은 자본주의보다 탐욕스러운 인류가 문제라고 주장합니다. 비록 제국주의가 식민지들을 수탈한다고 해도, 자본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보수 우파들은 수탈을 무시합니다.

 

여기에서 해석 방법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닙니다. 현실 속에서 작가가 작품을 만들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 역시 작품보다 현실이 거대하다고 인정합니다. 작품보다 현실이 거대하기 때문에, 보수 우파들 역시 우리가 현실에게 기반하고 작품을 해석할 수 있다고 인정합니다. 하지만 보수 우파들은 현실에서 서구 자본주의가 악랄한 제국주의와 다르지 않고 제국주의가 환경 오염을 저지른다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회주의자들은 자본주의가 환경 오염 범죄자라고 지적하나, 보수 우파들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현실을 다르게 바라보기 때문에, 이 시각은 해석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게임 <심시티: 미래 도시> 스크린샷 출처:
https://www.origin.com/kor/en-us/store/simcity/simcity/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