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생태주의
<가부장제의 창조>와 생태계 테라포밍 본문
비디오 게임 <마스터 오브 매직>은 여러 마법사들을 보여줍니다. 여러 마법사들 중에서 프레야는 자연 학파 마법사입니다. 자연 학파 사역마(패밀리어)는 녹색 뱀입니다. 녹색이 자연을 상징하기 때문에, 사역마는 녹색일 겁니다. 먹이 그물망에서 식물은 영양분 생산자입니다. 나뭇잎 속의 광합성 요소는 영양분을 만듭니다. 1차 소비자는 식물을 먹고, 2차 소비자는 1차 소비자를 먹고, 3차 소비자는 2차 소비자를 먹습니다. 아무리 호랑이가 최고 포식자, 알파 프레데터라고 해도, 만약 식물이 영양분을 만들지 않는다면, 호랑이는 굶주릴 겁니다. 먹이 그물망에서 식물은 가장 근본적입니다.
식물이 가장 근본적이고, 나뭇잎(광합성 요소)이 영양분을 만들고, 나뭇잎이 녹색이기 때문에, 녹색은 자연 학파 마법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 학파 사역마는 비단 녹색일 뿐만 아니라 뱀입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쩌면 다산(多産)은 대답인지 모릅니다. 생물 다양성은 자연 생태계를 구성합니다. 생물 다양성은 생명체들이 많고 많다는 뜻입니다. '자연'은 많고 많은 생명체들을 낳습니다. 작은 민들레부터 거대한 고래 상어까지, 작은 꿀벌부터 거대한 세콰이어 나무까지, 자연은 많고 많은 생명체들을 낳습니다. 자연이 생명체들을 낳기 때문에, 생물 다양성은 다산으로 이어집니다.
생물 다양성이 다산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고대 신화들은 자연이 여신이라고 간주합니다. 여신은 생명체들을 낳고 세계를 창조합니다. 세계 창조 능력은 생물 다양성을 포함합니다. 여신은 비단 생명체들을 낳을 뿐만 아니라 세계를 창조합니다. 여신이 많은 생명체들을 낳기 때문에,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이슈타르는 열매 나무와 생명의 물, 뱀과 함께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뱀은 다산을 상징합니다. 게다가 뱀은 탄생과 죽음이 고리를 이룬다고 상징합니다. 생명체는 탄생하고 죽습니다. 죽음은 끝이 아닙니다. 겨울 이후, 봄이 찾아오는 것처럼, 다시 생명체는 탄생합니다. 이건 순환입니다.
겨울 이후, 봄이 찾아오는 것처럼, 자연은 순환입니다. 생명체는 유한하나, 다시 생명체는 탄생합니다. 자연이 순환이고, 자연이 여신이기 때문에, 뱀과 여신은 잘 어울립니다. 뱀이 다산을 상징하고, 여신이 다양한 생명체들을 낳기 때문에, 뱀과 여신은 잘 어울립니다. 이렇게 뱀-자연-여자(여신)-생물 다양성이 이어지기 때문에, <마스터 오브 매직>에서 자연 학파 사역마는 녹색 뱀인지 모릅니다. 게임 제작자들이 이것을 의도했나요? 게임 제작자들이 메소포타미아 신화와 이슈타르 여신과 다른 고대 신화들을 의도했나요? 프레야와 녹색 뱀 사역마가 자연과 여신과 순환과 다산을 가리키나요?
자연과 여신과 순환과 다산을 가리키기 위해 게임 제작자들이 프레야와 녹색 뱀을 설정했나요? 어쩌면 게임 제작자들은 이것을 의도했는지 모릅니다. 아니면 프레야와 자연 학파와 녹색 뱀은 그저 우연에 불과한지 모릅니다. 자연 마법 학파에서 최종 거대 괴수는 그레이트 웜(Great Wyrm)입니다. 뱀이 다산과 순환을 가리키기 때문에, 최종 거대 괴수는 그레이트 웜인지 모릅니다. 웜과 뱀은 비슷합니다. 녹색 그레이트 웜은 녹색 뱀 사역마를 뻥~튀기(?)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레이트 웜이 다산과 순환을 가리키나요? 어쩌면 이건 게임 제작자들 의도이거나 그저 우연에 불과한지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이것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비록 게임 제작자들에게 아무 의도가 없었다고 해도, 고대 신화들이 자연과 여신과 뱀과 다산을 연결하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는 이슈타르와 프레야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슈타르가 보여주는 것처럼, 고대 신화들이 여신과 뱀과 다산을 연결하고, 이게 아주 유명한 상징이기 때문에, 게임 제작자들은 이것을 저도 모르게 반영했는지 모릅니다.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게임 제작자들은 유명한 상징을 저도 모르게 반영했는지 모릅니다. 이건 언제나 모든 여신과 뱀이 필연적으로 이어진다는 뜻이 아닙니다.
어떤 여신들은 뱀과 이어지지 않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이슈타르가 대지모신인 것처럼,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는 대지모신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이아와 뱀은 이어지지 않습니다. 단군 신화에서 웅녀는 대지모신이거나 유사 대지모신입니다. 하지만 이름이 가리키는 것처럼, 웅녀는 뱀보다 곰입니다. 다른 여러 자연의 여신들 역시 뱀과 이어지지 않습니다. 종종 자연의 여신과 뱀은 필연적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가 보여주는 것처럼, 고대 신화들은 자연이 여자(여신)라고 간주합니다. 자연이 생물 다양성을 낳고, 여자가 아기를 낳기 때문입니다.
여자가 생명체(아기)를 낳고 먹이기 때문에, 여자와 자연은 비슷합니다. 남자가 아기를 낳지 못하고 먹이지 못하기 때문에, 남자와 자연은 비슷하지 않습니다. 이건 고대 신화들이 남자(남신)를 무시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환웅과 웅녀가 결혼하는 것처럼, 종종 대지모신은 세계를 혼자 창조하지 않습니다. 여자와 남자가 섹스하고 아기를 낳는 것처럼, 남자 역시 세계 창조에 개입합니다. 하지만 결국 여자가 아기를 낳고 먹이기 때문에, 세계 창조신은 여신입니다. 적어도 여신에게는 신비롭고 풍요로운 권능이 있습니다. 아무리 하늘에서 환웅이 내려왔다고 해도, 환웅(남자)은 단군을 직접 낳지 못합니다.
환웅에게는 대지모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곰은 여자가 되고 대지모신이 됩니다. 곰이 여자가 되고, 곰이 야생 동물인 것처럼, 자연-여자-창조는 이어집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과 달리, 웅녀와 뱀은 함께 나타나지 않으나, 웅녀는 자연과 여자와 창조가 이어진다고 보여줍니다. 웅녀를 비롯해 대지모신 신화들은 자연과 여자와 창조가 이어진다고 보여줍니다. 그래서 <마스터 오브 매직>에서 자연 학파 마법사는 여자(프레야)인지 모릅니다.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대지모신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분명히 대지모신은 유명한 상징입니다. 거대 괴수 모스라와 대지모신은 비슷할 수 있습니다.
모스라의 가장 커다란 특성은 번성과 순환입니다. 모스라는 엄마입니다. 모스라는 알을 낳고, 알에서 애벌레는 태어나고, 다시 애벌레는 엄마가 됩니다. 다시 엄마는 알을 낳습니다. 고대 신화에서 뱀이 순환을 가리키는 것처럼, 모스라는 순환을 가리킵니다. 뱀과 여신은 함께 나타나고, 모스라는 여자입니다. 고대 사람들이 이슈타르를 숭배한 것처럼, 열대 밀림 부족민들은 모스라를 숭배합니다. 모스라는 두 소미인과 소통합니다. 여자 사제들이 이슈타르 사원을 관리한 것처럼, 두 여자 주술사는 모스라와 소통합니다. 모스라는 환경 오염을 정화합니다. 대지모신과 모스라는 교집합을 형성합니다.
영화 제작자들이 이것을 의도했나요? 영화 제작자들이 대지모신과 모스라가 교집합을 형성하기 원했나요? 대지모신을 표현하기 위해 영화 제작자들이 모스라를 설정했나요? 대지모신은 영화 제작자들 의도인지 모릅니다. 아니면 이건 그저 우연에 불과한지 모릅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에서 프레야와 녹색 뱀이 자연과 여신과 다산을 가리키지 않는지 모르는 것처럼, <모스라>는 대지모신을 가리키지 않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대지모신은 유명한 상징입니다. 심지어 이건 아주 보편적인 신화입니다. 대지모신이 아주 보편적인 신화이기 때문에, 어떤 영화 관객들은 대지모신을 해석할지 모릅니다.
자연과 여신과 다산이 유명한 신화이기 때문에,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이것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어떤 게임 플레이어들은 이슈타르를 해석할지 모릅니다. 초월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게임 제작자들은 <마스터 오브 매직>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초월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영화 제작자들은 <모스라>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현실 속에서 게임 제작자들은 <마스터 오브 매직>을 만들었습니다. 현실 속에서 영화 제작자들은 <모스라>를 만들었습니다. 현실 속에서 대지모신, 자연과 여자와 다산은 아주 유명한 상징입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이 나타나기 전에, 이미 이건 보편적이었습니다.
<모스라>가 나타나기 전에, 이미 대지모신은 아주 보편적인 상징이었습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과 <모스라>보다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는 먼저 나타났습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과 <모스라>보다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는 훨씬 유구합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과 <모스라>보다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는 훠어어어어어어얼씨인 유구한 역사를 자랑합니다. 그래서 어떤 게임 플레이어들과 어떤 영화 관객들은 대지모신을 <마스터 오브 매직>과 <모스라>에게 대입할지 모릅니다. 소설에서 작가 의도는 가장 중요한 해석 기준이나, 작가 의도는 소설을 완전히 장악하지 않습니다.
소설을 해석하기 위해 독자는 작가 의도보다 현실에게 기반합니다. 현실 속에서 작가가 소설을 쓰기 때문에, 독자는 현실에게 기반합니다. 소설을 쓰기 위해 작가가 초월적인 시간과 공간 속으로 들어갈 수 있나요? 김보영 작가는 SF 소설을 썼습니다. SF 소설을 쓰기 위해 김보영 작가가 다른 차원으로 들어갔나요? 그건 아닙니다. 아무리 SF 소설이 기상천외한 세계를 보여준다고 해도, 기상천외한 차원에서 SF 작가는 소설을 쓰지 않습니다. 현실 속에서 SF 작가는 소설을 씁니다. SF 작가보다 현실은 훨씬 근본적입니다. 만약 현실 조건이 허락하지 않는다면, 작가는 SF 소설을 쓰지 못할 겁니다.
21세기 초반 SF 작가는 생체 우주선을 쓸 수 있습니다. 현실이 천문학과 유전 공학과 진화 이론을 허용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14세기 문학 작가는 생체 우주선을 쓰지 못했습니다. 현실이 천문학과 유전 공학과 진화 이론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작가 의도보다 현실은 근본적입니다. 독자는 작가 의도보다 현실에게 기반하고 소설을 해석합니다. 소설을 해석하기 위해 독자가 현실에게 기반하는 것처럼, <마스터 오브 매직>과 <모스라>를 해석하기 위해 어떤 게임 플레이어들과 어떤 영화 관객들은 현실에게 기반할지 모릅니다. 그들은 대지모신 상징을 프레야와 모스라에게 적용할 겁니다.
게다가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와 프레야와 모스라는 비슷한 생산 조건에게 기반합니다. 다른 무엇보다 생산 조건은 비슷한 기반입니다. 하늘에서 이슈타르와 웅녀는 뚝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늘에서 프레야와 모스라는 뚝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늘에서 인류 문화는 뚝 떨어지지 않습니다. 현실이 천문학과 유전 공학과 진화 이론을 허용하기 때문에, SF 작가가 생체 우주선을 쓰는 것처럼, 현실이 어떤 생산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생산 조건에서 인류 문화는 비롯합니다. 인류가 문화를 만드는 동안, 인류는 생산 조건에게 기반하고 원형을 모방합니다. 웅녀와 모스라는 비슷한 원형을 모방합니다.
고대 한반도 사람들이 웅녀 신화를 만들었을 때, 그들이 애니메이션 <고지라: 괴수 행성> 3부작을 예상했나요? 그건 아닙니다. 고대 사람들은 <괴수 행성> 3부작을 예상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연-여자-다산은 생산 조건, 원형입니다. 이 원형에서 이슈타르와 웅녀는 비롯했고, 이 원형에서 모스라는 비롯했습니다. 만약 자연 생태계가 순환하지 않았다면, 만약 생물 다양성이 먹이 그물망을 조성하지 않았다면, 만약 여자가 아기를 낳지 않았고 먹이지 않았다면, 웅녀와 모스라가 나타났을까요? 글쎄요, 그건 아닙니다. 웅녀와 모스라는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건 과잉 해석이 아닙니다.
종종 평론가들은 갑자기 하늘에서 문학이 뚝 떨어진다고 상정합니다. 갑자기 문학이 번쩍 나타나기 때문에, 평론가들은 생산 조건과 원형을 제거하고 오직 문학만 떠듭니다. 이 평론가들은 어떻게 문학이 나타나는지 파악하지 않습니다. 현실 속에서 작가가 문학을 쓰고, 현실 속에서 독자가 문학을 읽기 때문에, 현실은 문학 쓰기와 문학 해석에게 영향을 미치나, 평론가들은 이것을 간과하고 오직 문학만 주시합니다. 이건 너무 비좁은 시각입니다. 하지만 천문학과 유전 공학과 진화 이론이 발달하기 전에, SF 작가가 생체 우주선을 쓰지 못하는 것처럼, 생산 조건과 원형 없이, 문학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문학은 인생을 확장하거나 축소합니다. 문학이 인생을 확장하든, 축소하든, 현실에서 인간이 살아가기 때문에, 인간은 문학을 씁니다. 문학이 나타나기 전에, 인간은 인생을 살아갑니다. 만약 인간이 인생을 살아가지 않는다면, 문학은 나타나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생산 조건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보수 우파 지식인들이 식민지 생태계 파괴를 무시하고 허공에서 자본주의가 번쩍 나타났다고 믿는 것처럼, 얄팍한 평론가들은 허공에서 문학이 번쩍 나타난다고 참으로 용감무쌍하게 떠벌입니다. 용감무쌍한 평론들과 달리, 진짜 평론은 허공에서 프레야와 모스라가 번쩍 나타났다고 분석하지 않습니다.
비단 프레야와 모스라만 아니라 다른 SF/판타지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SF/판타지들에게 자연의 여신을 적용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테이블 롤플레잉 게임 <던전스 앤 드래곤스>에서 드루이드는 루루에를 숭배합니다. 드루이드는 자연 성직자입니다. 루루에는 자연의 여신입니다. 루루에가 자연의 여신이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어는 이슈타르 신화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모아나>에서 테 피티는 자연의 여신입니다. 영화 관객은 대지모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니, 영화 관객 해석과 상관없이, <모아나>는 테 피티가 대지모신, 창조신이라고 묘사합니다. 자연의 여신은 세계를 창조합니다.
애니메이션 <월-E>에서 이브는 식물 탐사 로봇입니다. 비록 이브가 로봇이라고 해도, 이브는 생명체(식물)를 품고 보호합니다. 여자가 임신하는 것처럼, 이브 내부는 식물을 품습니다. 이브가 식물을 품기 때문에, 다시 지구는 생명의 요람이 될지 모릅니다. 이브가 생명체를 낳기 때문에, 다시 지구 생물권은 생물 다양성을 조성할지 모릅니다. 영화 관객은 생물 다양성과 자연의 여신과 이브와 희귀 식물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비록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이 자연의 여신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현실 속에서 그들이 <월-E>를 만들었고, <월-E>보다 대지모신 신화가 훨~~씬 유구하기 때문입니다.
비디오 게임 <엔들리스 레전드>는 아우리가 행성이 여자(어머니)라고 묘사합니다. 아우리가 행성이 행성 거주민들을 바라보는 동안, 아우리가 행성은 여자 목소리로 말합니다. 대지모신이 여자이기 때문에, 행성 역시 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비디오 게임 <에이지 오브 원더스: 플래닛폴>에서 아마존들은 생태계 테라포밍 전문가입니다. 이름이 가리키는 것처럼, 아마존들은 (열대 밀림) 여자들입니다. 아마존들이 풍요로운 삼림들을 퍼뜨리고, 아마존들이 어머니 자연을 운운하기 때문에, 그들은 자연과 여신과 다산을 상징합니다. 프레야와 드루이드와 모스라와 이브와 아마존들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우리가 행성과 이슈타르와 가이아와 웅녀는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록 게임 제작자들(앰플리튜드 스튜디오)이 웅녀를 알지 못한다고 해도, 게임 플레이어는 아우리가 행성과 여자 목소리와 웅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대지모신이 아주 보편적인 상징이기 때문입니다. 비록 아우리가 행성이 예외라고 해도, 분명히 대지모신은 프레야와 드루이드와 모스라와 이브와 아마존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대 사람들이 자연의 여신을 이야기한 것처럼, 여전히 SF/판타지들은 자연의 여신을 암시하거나 모방합니다. 이건 오직 여신만 창조신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기독교 신화에서 창조신은 남자입니다.
기독교 신자들이 야훼를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처럼, 예수가 아버지에게 기도하는 것처럼, 예수가 외동딸보다 외아들인 것처럼, 기독교 신화는 창조신이 남자라고 묘사합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에서 자연 학파 사역마는 녹색 뱀이고, 프레야(여자 자연 마법사)와 녹색 뱀은 어울리나, 오히려 기독교 신화는 뱀과 여자와 열매 나무가 적대 관계라고 설정합니다. 뱀은 여자를 꼬시고, 여자는 열매를 먹고, 나무에서 뱀과 여자는 멀어집니다. <마스터 오브 매직>과 기독교 신화는 대조적입니다. <월-E>는 이브가 식물을 품는다고 묘사하나, 기독교 신화는 식물(나무)에서 이브가 멀어진다고 묘사합니다.
<월-E>와 기독교 신화는 대조적입니다. 대지모신은 아주 보편적인 상징이나, 오히려 기독교 신화는 이 상징(자연과 여자와 다산과 순환)을 왜곡합니다. 이슈타르(여자)는 열매 나무와 생명의 물과 뱀과 함께 나타납니다. 하지만 기독교 신화는 이슈타르를 왜곡하고 열매 나무와 여자와 뱀을 떨어뜨립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기독교 신화가 이슈타르, 자연의 여신을 왜곡하나요? 페미니즘 역사 서적 <가부장제의 창조>에서 거다 러너는 가부장 제도가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추론합니다. 여자가 아기를 낳고 먹이기 때문에, 원초적인 신앙은 대지모신, 자연의 여신이 창조신이라고 설정했습니다.
비록 남자(남신)가 세계 창조에 개입한다고 해도, 환웅보다 웅녀가 단군을 낳는 것처럼, 고대 신화에서 여신은 결정적인 역할입니다. 웅녀가 단군을 낳기 때문에, 단군은 계보를 이룹니다. 웅녀 없이, 단군은 나타나지 못하고, 환웅은 단군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야생 동물(곰)이 자연의 여신으로 승화하기 전에, 계보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자연이 여자가 되기 전에, 계보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대지모신은 근본적입니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가 잉여 생산물과 계급 사회를 설명하는 것처럼, 시간은 흐르고, 잉여 생산물은 늘어나고, 가부장 제도는 강해집니다. 가부장 제도는 남자에게 권위를 부여합니다.
걸림돌은 대지모신입니다. 대지모신이 근본적인 역할이기 때문에, 이건 여자가 근본적이라는 뜻입니다. 여자가 근본적이기 때문에, 가부장 제도는 남자에게 권위를 부여하지 못합니다. 가부장 제도는 창조신이 여자보다 남자라고 설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초기 메소포타미아 신화와 달리, 기독교 신화에서 창조신은 남자(야훼)이고, 구원자는 외아들(예수)입니다. 이슈타르와 열매 나무와 생명의 물과 뱀과 달리, 기독교 신화는 나무와 여자와 뱀을 왜곡하고 떨어뜨립니다. 이슈타르가 사라졌기 때문에, 자연의 여신이 사라졌기 때문에, 남자(야훼)는 세계를 창조합니다. 하지만 이건 또 다른 문제가 됩니다.
남자는 생명체(아기)를 낳지 못하고 먹이지 못합니다. 여자가 모유를 생산하고 아기를 먹이기 때문에, 여자와 번성은 쉽게 이어질 수 있으나, 남자와 번성은 이어지지 못합니다. 그래서 가부장 제도는 잔머리를 굴리기 시작합니다. 야훼는 세계를 직접 창조하지 않습니다. <모아나>에서 테 피티는 세계를 직접 창조하나, 테 피티와 달리, 기독교 신화에서 야훼는 이름을 부릅니다. 야훼가 이름을 부르기 때문에, 세계는 나타납니다. 테 피티가 생명체를 퍼뜨리기 때문에, 테 피티는 육체적인 존재입니다. 육체적인 존재는 유물론으로 이어집니다. 야훼가 이름을 부르기 때문에, 야훼는 관념적인 존재입니다.
<모아나>에서 모아나는 테 피티를 직접 만납니다. 테 피티가 육체적인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애니메이션 <이집트 왕자>에서 모세는 야훼를 직접 만나지 못합니다. 야훼는 작은 나무를 태우고 오직 목소리만 들려줍니다. 야훼가 관념적인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가부장 제도가 꼼수를 부리기 때문에, 이슈타르는 사라지고 야훼는 나타납니다. 세계 창조신은 여자보다 남자입니다. 세계 창조신은 육체적인 존재보다 관념적인 존재입니다. 사람들이 이슈타르를 숭배했을 때, 사람들은 모유가 풍부한 젖가슴과 아늑한 자궁을 머릿속에 떠올렸을 겁니다. 기독교 신화는 육체를 지우고 관념을 주입합니다.
기독교 신화는 가부장 신화입니다. 가부장적인 기독교 신화에서 야훼는 아버지입니다. 아버지는 아담을 창조합니다. 아담 이후, 이브는 나타납니다. 아담에서 이브는 비롯합니다. 남자가 남자를 만들고, 남자에게서 여자가 비롯하기 때문에, 더 이상 여자는 근본적이지 않습니다. 여자가 근본적이지 않기 때문에, 가부장적인 기독교 신화는 남자에게 권위를 부여합니다. 비록 남자가 아기를 먹이지 못한다고 해도, 이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남자가 이름을 부르기 때문입니다. 비록 남자가 모유를 생산하지 못한다고 해도, 이름이 중요하기 때문에, 모유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야훼처럼, 아담은 이름을 부릅니다.
소설 <에라곤>은 진명(眞名, true name)이 강력한 주문이라고 설정합니다. 야훼가 이름을 부르기 때문에, 이름은 강력한 주문이 됩니다. 중세 유럽 판타지는 가부장 신화를 모방하고 진명이 강력한 주문이라고 설정합니다. 관념론에서 진명 설정은 비롯합니다. <모아나>에서 테 피티는 울창한 밀림입니다. 나무가 열매를 맺고, 동물이 열매를 먹는 것처럼, 울창한 밀림은 육체적인 존재입니다. 반면, 동물은 이름을 먹지 않습니다. (인간 역시 이름을 먹지 않습니다.) 먹거리 없이, 동물은 존재하지 못하나, 이름 없이, 동물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백악기 후기에서 인류 문명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백악기 후기에서 아무도 아르켈론을 아르켈론이라고 부르지 않았습니다. 비록 아무도 아르켈론을 부르지 않았다고 해도, 아르켈론을 살아갔습니다. 하지만 만약 해양 생태계가 사라졌다면, 아르켈론은 먹지 못했을 테고 사라졌을 겁니다. 이름보다 먹거리, 육체는 근본적입니다. 이름보다 육체는 근본적이나, 가부장 제도는 꼼수를 부렸고 유물론보다 관념론이 중요하다고 왜곡했습니다. <가부장제의 창조>는 어떻게 가부장 제도가 대지모신(유물론)을 남자 창조신(관념론)으로 바꾸었는지 추론합니다. 이 추론이 옳은가요? <가부장제의 창조>가 타당한가요? 거다 러너가 고대 신화들을 제대로 고증했나요?
가부장 제도가 대지모신을 왜곡했기 때문에, 젖가슴과 자궁보다 이름 부르기가 강력한 주문이 되었나요? 가부장 제도가 남자에게 권위를 부여했기 때문에, 대지모신이 자궁으로 생명체를 낳지 않고 젖가슴으로 생명체를 먹이지 않나요? 가부장 제도 때문에, 남자 창조신이 이름을 부르고 생명체를 만드나요? 비디오 게임 <네버윈터 나이츠>는 중세 유럽 판타지입니다.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진명은 아주 강력한 주문입니다. 기독교 신화에서 아담은 동물 이름을 부르고 동물을 지배합니다. 기독교 신화에서 아담이 이름을 부르고 동물을 지배하는 것처럼, <네버윈터 나이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비전 마법사가 진명을 부른다면, 마법사는 대상을 지배할지 모릅니다. 심지어 이건 고위 악마 메피스토펠레스를 지배할지 모릅니다. 비단 <네버윈터 나이츠>만 아니라 여러 중세 유럽 판타지들은 관념론을 설정합니다. 소설 <실마릴리온>에서 일루바타르는 생명체를 먹이지 않습니다. 창조신은 젖꼭지를 물리지 않습니다. 창조신은 음악을 만듭니다. 음악과 젖가슴은 다릅니다. 젖가슴은 육체이나, 음악은 문화입니다. 가부장 제도, 기독교 신화가 관념론을 주장했기 때문에, 이게 원형이 되었고, <실마릴리온>과 <네버윈터 나이츠>와 <에라곤>이 이 원형을 모방했나요?
어쩌면 거다 러너는 과잉 해석했거나, <가부장제의 창조>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와 기독교 신화를 억지로 연결했거나, (웅녀 같은) 다른 지역 신화들과 <가부장제의 창조>는 맞지 않는지 모릅니다. 근대 역사학자가 고대 사회를 100% 고증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부장제의 창조>는 너무 무리한 시도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가부장제의 창조>가 무리라고 해도, 이 작업은 자연과 여자가 아주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고 설명합니다. <플래닛폴> 아마존이 어머니 자연을 운운하는 것처럼, SF 생태학에게 <가부장제의 창조>는 흥미로운 작업입니다. 게다가 이건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모스라가 열대 밀림 부족민들을 보호하는 것처럼, 아무리 기독교 신화가 남자 창조신을 내세웠다고 해도, 인류 문화에서 자연의 여신은 명맥을 잃지 않았습니다. 흔히 사람들은 남자들이 역사와 문명을 이끌었다고 착각하나, 자연의 여신이 명맥을 잃지 않은 것처럼, 사람들은 여자가 근본적이라고 느낍니다. 비록 사람들이 이것을 뚜렷하게 자각하지 못한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자가 근본적이라고 느낍니다. 먹거리 없이, 육아 노동 없이, 역사고 문명이고 나발이고 나타나지 않습니다. 대지모신은 먹거리와 육아가 가장 근본적이고 원초적이라고 시사합니다. 인류 역사는 남자 역사가 아닙니다.
야훼가 아버지인 것처럼, 기독교 신화는 가부장 신화이나, 야훼는 아담(남자)을 먼저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야훼는 이브(여자)를 만들었습니다. 남자는 초기형이고, 여자는 양산형입니다. 초기형보다 양산형은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남자보다 여자는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여자가 아기를 낳고 먹이기 때문에, 먹고 살기와 돌봄 노동이 인류 문명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남자보다 여자는 높은 완성도를 자랑하는지 모릅니다. 비록 가부장 제도가 자연의 여신을 왜곡했다고 해도, 사람들이 여자가 근본적이라고 저도 모르게 느끼기 때문에, 기독교 신화는 여자가 양산형이라고 묘사하는지 모릅니다.
기독교 신화는 흙에서 남자가 비롯했다고 말합니다. 남자와 달리, 육체에서 여자는 비롯했습니다. 여자가 아기를 낳고 먹이기 때문에, 먹고 살기와 돌봄 노동이 인류 문명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흙에서 남자는 비롯했고, 육체에서 여자는 비롯했는지 모릅니다. 비록 가부장 제도가 자연의 여신을 왜곡했다고 해도, 가부장 신화에서 자연의 여신은 자신의 흔적을 남겼는지 모릅니다. 어쩌면 이건 과잉 해석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비록 이게 과잉 해석이라고 해도, <플래닛폴> 아마존처럼, 여전히 대지모신이 대중 문화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기독교 신화에 대지모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직 남자만 인류 역사 주체인가요? 위인 전기들이 남자 과학자들, 남자 철학자들, 남자 장군들을 줄줄이 읊어대는 것처럼, 사람들은 남자들이 문명과 역사를 이끌었다고 착각합니다. 하지만 자연의 여신은 근본적인 차원에서 가부장 제도가 틀렸다고 암시합니다. 자연의 여신은 인류 역사가 남자 역사가 아니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건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위인 전기들이 남자 장군들을 늘어놓는다고 해도, 인류 역사는 남자 역사가 아닙니다. 가부장 역사는 인류 역사가 아니고, 전쟁 역사는 인류 역사가 아닙니다.
자연의 여신이 생명체들을 먹이고 키우는 것처럼, 인류 역사는 먹이고 키우기 위한 순환 과정입니다. (역사 유물론은 먹거리와 육아가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먹거리와 육아가 중요하기 때문에, 인류 사회는 모성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자연과 여자와 뱀이 이어지는 것처럼, 자연에서 먹거리가 비롯하기 때문에, 모성 사회는 자연 환경을 공유해야 합니다. 결국 모성 사회는 공유 사회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공유 사회를 탄압합니다. 공유 사회가 모성 사회이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모성 사회를 탄압합니다. 자본주의가 모성 사회를 탄압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는 가부장 제도입니다.
이건 그저 비유에 불과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가 돌봄 노동을 착취하고 높은 이윤을 얻기 때문에, 경제학 관점에서 자본주의 사회는 가부장 제도입니다. <가부장제의 창조>에서 거다 러너는 돌봄 노동 사회화를 크게 주장하지 않으나, 이 작업은 공유 사회가 해방 사회라고 시사합니다. 자연의 여신이 공유 사회로 이어지고, <플래닛폴> 아마존이 생태계 테라포밍 전문가인 것처럼, SF 생태학에게 <가부장제의 창조>가 흥미로운 작업이기 때문에, SF 생태학 덕후 역시 공유 사회를 지지할 수 있습니다. SF 생태학 덕질은 공유 사회로 이어집니다.
※ 게임 <Among Ripples: Shallow Waters> 스크린샷 출처: JayPlays,
www.youtube.com/watch?v=m-BUCYN8eoc
※ 게임 <마스터 오브 매직> 스크린샷 출처: 0NamelessOne0,
www.youtube.com/watch?v=3_zeQsSErTs
※ 게임 <에이지 오브 원더스: 플래닛폴> 스크린샷 출처: Cantastrophe,
www.youtube.com/watch?v=g1sRTkgJ4Ds
※ 사진 <Chocolate Cake …> 출처: Lobanov Max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