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SF 생태주의

<마더 러시아>, 김지연 작가, 메간테레온, 저자 의도 본문

SF & 판타지/대지 모신

<마더 러시아>, 김지연 작가, 메간테레온, 저자 의도

OneTiger 2023. 7. 1. 08:00

[게임 제작자(저자)들에게서 가이아는 벗어날 수 있습니다.]



"뭐라고 소설가가 의도하는가?" 독자들이 소설을 해석할 때, 이 물음은 가장 중요합니다. 이 물음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소설가는 소설을 해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소설가가 소설을 해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인가요? 대답은 간단합니다. 소설가 없이, 소설은 존재하지 못합니다. 하늘에서 소설은 뚝~ 떨어지지 않습니다. 허공에서 소설은 번쩍~ 나타나지 않습니다. 지상에서 소설은 불쑥~ 솟아나지 않습니다. 소설가가 쓰기 때문에, 소설은 나타납니다. 소설은 소설가에게 종속됩니다. 소설가가 소설을 쓰는 동안, 소설가는 자신의 의도를 반영합니다.

 

소설가가 의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소설이 소설가에게 종속되기 때문에, 독자들은 뭐라고 소설가가 의도하는지 분석합니다. 만약 독자들이 소설가를 무시한다면, 이건 과잉 해석에 빠질 수 있습니다. 김지연 작가는 <사랑하는 일>을 썼습니다. 만약 김지연 작가가 쓰지 않았다면, <사랑하는 일>은 나타나지 않았을 겁니다. 이 단편 소설은 김지연 작가에게 종속됩니다. 독자들이 이 단편 소설을 해석할 때, 김지연 작가는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만약 독자들이 김지연 작가를 무시한다면, 이건 과잉 해석에 빠질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사랑하는 일>이 동성 연애에 반대한다고 해석하지 못합니다.



김지연 작가는 동성 연애에 반대하지 않을 겁니다. 만약 김지연 작가가 동성 연애에 반대했다면, 이 소설가는 <사랑하는 일>을 쓰지 않았을 겁니다. 김지연 작가가 동성 연애에 반대하지 않기 때문에, <사랑하는 일>이 이 소설가에게 종속되기 때문에, 독자들은 이 단편 소설이 동성 연애에 반대한다고 해석하지 못합니다. 만약 독자들이 이것을 해석한다면, 독자들은 과잉 해석에 빠질 겁니다. 독자들이 과잉 해석에 빠지는 것처럼, 소설가는 소설을 해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건 언제나 소설이 소설가에게 종속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소설가에게서 소설은 벗어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가요? 어떻게 소설가에게서 소설이 벗어날 수 있나요? 소설가가 현실을 창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김지연 작가는 현실을 창조하지 않았습니다. 현실이 존재하기 때문에, 현실에서 김지연 작가는 <사랑하는 일>을 썼습니다. 김지연 작가가 이 단편 소설을 쓰기 전에, 이미 현실은 존재했습니다. 만약 현실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김지연 작가는 <사랑하는 일>을 쓰지 못했을 겁니다. 아니, 만약 현실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심지어 김지연 작가조차 존재하지 않았을 겁니다. 현실이 우선하기 때문에, 독자들이 현실에게 기반할 때, 김지연 작가에게서 <사랑하는 일>은 벗어납니다.



메간테레온은 고대 검치 호랑이입니다. <사랑하는 일>은 메간테레온을 묘사하지 않습니다. 만약 김지연 작가가 메간테레온을 인식하지 않는다면, <사랑하는 일>에서 이 검치 호랑이가 존재하지 않나요? 김지연 작가가 이 단편 소설을 썼기 때문에, 이 소설가가 메간테레온을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이 단편 소설에서 이 호랑이가 존재하지 않나요? 그건 아닙니다. 비록 김지연 작가가 인식하지 않는다고 해도, 비록 이 단편 소설이 묘사하지 않는다고 해도, 메간테레온은 존재합니다. <사랑하는 일>은 현실을 모방합니다. 김지연 작가는 현실과 이 단편 소설이 아주 가깝다고 의도했을 겁니다.

 

현실에서 메간테레온은 존재했습니다. <사랑하는 일>이 현실을 모방하기 때문에, 비록 김지연 작가가 메간테레온을 인식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 단편 소설에서 이 검치 호랑이는 존재합니다. 비록 이 단편 소설이 묘사하지 않는다고 해도, 이 단편 소설에서 자연사 박물관은 메간테레온 화석을 전시할 겁니다. 독자들은 이것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건 과잉 해석이 아닙니다. 만약 <사랑하는 일>에서 메간테레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건 <사랑하는 일>이 대체 진화 역사를 설정한다는 뜻일 겁니다. 독자들이 이 고대 야수를 해석하는 것처럼, 김지연 작가에게서 이 단편 소설은 벗어납니다.



김지연 작가는 저자(author)입니다. <사랑하는 일>은 작품(work)입니다. 김지연 작가처럼, 소설가는 저자입니다. 비단 소설가만 아니라 만화가 역시 저자입니다. 비단 만화가만 아니라 영화 감독 역시 저자입니다. 비단 영화 감독만 아니라 게임 제작자 역시 저자입니다. <사랑하는 일>처럼, 소설은 작품입니다. 소설처럼, 만화는 작품입니다. 만화처럼, 실사 영화는 작품입니다. 실사 영화처럼, 보드 게임, 비디오 게임은 작품입니다. <사랑하는 일>이 김지연 작가에게 종속되는 것처럼, 만화부터 비디오 게임까지, 작품은 저자에게 종속됩니다. 저자는 작품을 해석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건 언제나 작품이 저자에게 종속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김지연 작가에게서 <사랑하는 일>이 벗어나는 것처럼, 저자에게서 작품은 벗어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저자가 작품을 창조하기 때문입니다. "뭐라고 저자가 의도하는가?" 이건 작품을 해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물음입니다. 아무리 이 물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해도, 이 물음은 전부가 아닙니다. "현실에서 저자는 작품을 창조한다." 이건 작품을 해석하기 위한 훨씬 본질적인 인식입니다. ("뭐라고 저자가 의도하는가?"보다 "현실에서 저자는 작품을 창조한다."는 우선합니다.) <크로우폴> 가이아, 스베틀라나 코르시코프는 다르지 않습니다.



[물수리는 물고기를 죽입니다. 그 자체로서, 죽음, 폭력이 진짜 목적인가요?]



메간테레온은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을 겁니다. 고생물학자들은 이 검치 호랑이가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다고 추측합니다. 이건 메간테레온이 다른 동물들을 죽였다는 뜻입니다. 메간테레온이 다른 동물들을 죽이기 때문에, 이 검치 호랑이와 죽음, 폭력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비단 이 검치 호랑이만 아니라 다른 야생 동물들 역시 똑같습니다. 물수리는 물고기를 사냥합니다. 이건 물수리가 물고기를 죽인다는 뜻입니다. 물수리와 죽음, 폭력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비록 메간테레온과 죽음, 폭력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도, 비록 물수리와 죽음, 폭력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도, 그 자체로서, 죽음, 폭력이 진짜 목적인가요?

 

그건 아닙니다. 왜 메간테레온이 다른 동물을 사냥하나요? 대답은 물질대사(신진대사)입니다. 메간테레온이 다른 동물을 사냥하기 때문에, 이 검치 호랑이는 고기를 먹습니다. 이 검치 호랑이가 고기를 먹기 때문에, 이 검치 호랑이는 영양분들을 섭취합니다. 이 검치 호랑이가 영양분들을 섭취하기 때문에, 이 검치 호랑이는 육체를 유지합니다. 비단 메간테레온만 아니라 물수리 역시 똑같습니다. 왜 물수리가 물고기를 사냥하나요? 대답은 물질대사(신진대사)입니다. 물수리가 물고기를 사냥하기 때문에, 이 맹금은 먹거리를 얻습니다. 물수리가 먹거리를 얻기 때문에, 이 맹금은 영양분들을 섭취하고 육체를 유지합니다.



만약 물수리가 아무것도 먹지 못한다면, 이 맹금은 영양분들을 섭취하지 못할 겁니다. 물고기들이 번성하기 때문에, 이 맹금은 육체를 유지합니다. 어떻게 물고기들이 번성하나요? 커다란 물고기는 작은 물고기를 먹습니다. 작은 물고기는 동물 플랑크톤을 먹습니다. 동물 플랑크톤은 식물 플랑크톤을 먹습니다. 광합성 덕분에, 그 자체로서,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분들을 생산합니다. 동물 플랑크톤부터 물수리까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분들을 생산합니다. 식물 플랑크톤들이 영양분들을 생산하기 때문에, 아하~, 담수 생태계는 순환합니다. 식물 플랑크톤들은 담수 생태계를 뒷받침합니다.

 

물수리는 이 생태계에 속합니다. 비록 물수리가 영양분 생산자(식물 플랑크톤)들을 먹지 않는다고 해도, 물수리는 생산자들에게 의지합니다. 만약 생산자들이 번성하지 못한다면, 물수리는 살아가지 못할 겁니다. 메간테레온은 다르지 않습니다. 담수 생태계처럼, 삼림 생태계에서 식물들은 영양분들을 생산합니다. 식물들은 삼림 생태계를 뒷받침합니다. 메간테레온은 이 생태계에 속합니다. 비록 메간테레온이 식물들을 먹지 않는다고 해도, 메간테레온은 식물들에게 의지합니다. 만약 식물들이 번성하지 못한다면, 메간테레온은 살아가지 못할 겁니다. 심지어 생태계에서 최고 포식자조차 식물들에게 의지합니다.



인간은 다르지 않습니다. 메간테레온처럼, 물수리처럼, 만약 인간이 아무것도 먹지 못한다면, 인간은 육체를 유지하지 못할 겁니다. 인간이 육체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간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비록 인간이 식물보다 고기를 먹는다고 해도, 식물들이 번성하기 때문에, 인간은 고기를 먹을 수 있습니다. 식물 플랑크톤부터 메간테레온까지, 농장 작물부터 고대 삼림까지, 많은 사례들은 자연이 먹거리들을 선사한다고 증명합니다. 자연 없이, 먹거리들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자연 덕분에, 먹거리들은 가능합니다. 자연이 먹거리들을 선사하기 때문에, 많은 동물들은 살아갑니다. 자연은 먹거리들입니다.

 

자연이 동물을 먹이기 때문에, 자연과 여자(엄마)는 비슷합니다. 자연이 동물을 먹이는 것처럼, 여자(엄마)는 아기를 먹입니다. 자연이 먹거리들을 선사하는 것처럼, 여자는 모유를 생산합니다. 자연 없이, 동물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문자 그대로, 아기에게 엄마는 젖줄입니다. 자연과 여자가 비슷하기 때문에, 과거(원시·고대) 인류는 어머니 자연들을 상상했습니다. 적어도, 어머니 여신들은 어머니 자연을 포함합니다. 메간테레온이 자연에게 의지하는 것처럼, 물수리가 자연에게 의지하는 것처럼, 인류는 자연에게 의지합니다. 자연 없이, 인류는 살아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어머니 자연은 원초적인 신격입니다.



아무리 어머니 자연이 원초적인 신격이라고 해도, 어머니 자연보다 가부장 남신은 주된 신격이 됩니다. 야훼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일 수 있습니다. 야훼는 어머니 자연보다 가부장 남신입니다. 비단 야훼만 아니라 단군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한반도 신화에서 가부장 남신은 어머니 자연을 밀어냈습니다. 이 <한겨례> 기사(링크)에서 조현설 동국 대학교 한국 문학 교수는 단군(가부장 남신)이 마고할미(어머니 자연)를 밀어냈다고 설명합니다. 비단 마고할미만 아니라 웅녀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웅녀는 단군을 낳았습니다. 웅녀 없이, 단군은 나타나지 못합니다. 웅녀 덕분에, 단군은 존재합니다.

 

웅녀는 야생 동물과 여자를 결합합니다. 웅녀는 어머니 자연입니다. 아무리 웅녀가 어머니 자연이라고 해도, 아무리 이 어머니 자연이 단군을 낳았다고 해도, 한반도 문화는 웅녀보다 단군을 떠받듭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어머니 자연보다 가부장 남신이 주된 신격인가요? 어쩌면 계급 투쟁은 대답일 수 있습니다. 아마도 과거(원시·고대) 사회는 모계 사회였을 겁니다. 아마도 과거 인류는 가부장 남신보다 어머니 자연을 숭배했을 겁니다. 문자 그대로, 모계 사회에서 가부장 남신보다 어머니 자연은 주된 신격이었을 겁니다. 과거 사회가 잉여 생산물들을 축적한 이후, 가부장 제도는 나타났습니다.



[이 장면은 어머니 자연이 원초적인 신격이라고 보여줍니다.]



가부장 제도가 나타났기 때문에, 가부장 제도에서 가부장 남신은 주된 신격이 되었습니다. 아니면 어떤 인류학자들은 다른 이유를 지적할 수 있습니다. 남자들이 여자들을 소유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잉여 생산물들과 상관없이, 어쩌면 가부장 제도는 나타났을 수 있습니다. 비록 잉여 생산물들이 진짜 이유가 아니라고 해도, 원시 사회가 잉여 생산물들을 축적한 이후, 어쩌면 남자들은 여자들을 소유하기 시작했을 수 있습니다. 이게 가부장 제도이기 때문에, 어쩌면 가부장 남신은 어머니 자연을 밀어냈을 수 있습니다. 19세기,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 추측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주장했습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처럼, 20세기 후반, 마리야 김부타스는 모계 사회, 어머니 여신을 주장했습니다. 마리야 김부타스는 거다 러너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습니다. (거다 러너는 비단 마리야 김부타스만 아니라 프리드리히 엥겔스 역시 분석합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부터 거나 러너까지, 모계 사회 이론이 타당한가요? 모계 사회가 어머니 자연을 숭배했나요? 가부장 제도가 어머니 자연을 밀어냈나요? 만약 이 이론이 틀리지 않는다면, 이건 진보 좌익을 뒷받침할 겁니다. (카를 마르크스와 함께)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당 선언>을 썼습니다. 제목처럼,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주의자입니다.



자본주의는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가 사유 재산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와 달리,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원시 모계 사회가 원시 공산주의 사회였다고 주장합니다. 비록 원시 사회가 완벽한 모계 사회가 아니었다고 해도, 사유 재산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 차별은 높지 않았습니다. 사유 재산 제도와 페미니즘은 대립합니다. 자본주의가 사유 재산 제도이기 때문에, 자본주의와 페미니즘은 대립합니다. 어머니 자연은 자본주의가 가부장 제도라고 증명합니다. 적어도, 만약 모계 사회 이론이 타당하다면, 이건 자본주의가 여자들을 차별한다는 뜻일 겁니다.

 

어머니 자연 없이, 좌익은 자본주의가 여자들을 차별한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 임금 차별부터 무임금 노동까지, 많은 사례들은 자본주의가 성 차별 제도라고 증명합니다. 어머니 자연은 자본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유일한 이론이 아닙니다. (루이스 램피어가 비판하는 것처럼, 마리야 김부타스는 틀렸는지 모릅니다.) 비록 어머니 자연이 유일한 이론이 아니라고 해도, 이 신격은 아주 오래된 역사입니다. 여전히 이 신격은 문화·예술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크로우폴>은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중세 판타지입니다. 이 중세 판타지에서 가이아는 전형적인 어머니 자연입니다.



어머니 자연이 아주 오래된 역사이기 때문에, 이 자연 신성은 <크로우폴>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겁니다. <크로우폴>은 어머니 자연이 아주 오래된 역사라고 반영합니다. (비단 <크로우폴>만 아니라 다른 SF·판타지들 역시 이 자연 신성이 아주 오래된 역사라고 반영합니다.) 가이아가 전형적인 어머니 자연이기 때문에, 프리드리히 엥겔스, 거다 러너, 가이아가 이어지나요? 게임 제작자들이 이 연결을 의도했나요?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게임 플레이어들은 이것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이아(작품, 중세 판타지)에게 어머니 자연(현실)이 생산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크로우폴>을 창조했습니다. <크로우폴>보다 어머니 자연은 우선합니다. 과거 인류가 어머니 자연들을 상상했기 때문입니다. 게임 제작자들보다 어머니 자연이 우선하기 때문에, 게임 제작자들과 상관없이, 게임 플레이어들은 가이아가 원초적인 신격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록 김지연 작가가 인식하지 않았다고 해도, <사랑하는 일>에서 메간테레온은 진화했(고 멸종했)습니다. 독자들은 이것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김지연 작가에게서 <사랑하는 일>이 벗어나는 것처럼, 게임 제작자들에게서 가이아는 벗어날 수 있습니다. 가이아는 게임 제작자들에게 종속되지 않습니다.



<크로우폴>이 반영하는 것처럼, (비단 이 판타지만 아니라 다른 SF·판타지들 역시 반영하는 것처럼) 어머니 자연이 아주 오래된 역사이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에서 진보 좌익은 인류 문명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관점에서 진보 좌익이 인류 문명을 바라보기 때문에, 아하, 진보 좌익에서 모계 사회 이론은 중요할 수 있습니다. 모계 사회 이론이 중요하기 때문에, 심지어 소비에트 연방조차 이 이론을 연구했습니다. 비록 소비에트 연방이 폐쇄적인 독재였다고 해도, 비록 소비에트 연방에게 커다란 문제들이 있었다고 해도, 심지어 이 폐쇄적인 독재조차 원시 모계 사회를 연구했습니다.

 

원시 모계 사회가 어머니 자연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소비에트 연방은 어머니 자연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연구했습니다. 심지어 이 폐쇄적인 독재조차 연구했던 것처럼,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는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 물론, 많은 사람들은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를 연결하지 않습니다. 세계화 자본주의는 지배적인 경제입니다. 세계화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경제이기 때문에, 지배적인 관념은 자본주의를 떠받듭니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대립합니다. 자본주의를 떠받들기 위해 지배적인 관념은 공산주의를 비난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공산주의가 너무 악랄하다고 오해합니다.



[이 다른 세계에서 어머니 자연-공산주의가 존재하나요?]



지배적인 관념이 비난하기 때문에, 공산주의는 너무 악랄한 것이 됩니다. 공산주의가 너무 악랄하기 때문에,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는 이어지지 않습니다. 특히, 어머니 자연과 소비에트 연방은 이어지지 않습니다. 어휴, 어떻게 어머니 자연과 폐쇄적인 독재가 이어지나요? 비록 많은 사람들이 오해한다고 해도, 비록 지배적인 관념이 비난한다고 해도, 프리드리히 엥겔스부터 거다 러너까지, 여러 사례들은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가 이어진다고 증명합니다. 제프 맥콤시는 <마더 러시아>를 그렸습니다. 이 만화는 좀비 아포칼립스입니다. 이 좀비 아포칼립스는 2차 세계 대전을 묘사합니다.

 

<마더 러시아>에서 주인공은 스베틀라나 고르시코프입니다. 스베틀라나 고르시코프는 소비에트 여자 저격수입니다. 현실에서 붉은 군대는 여자 저격수들을 포함했습니다. 동부 전선에서 소비에트 여자 저격수들은 활약했습니다. <마더 러시아>가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에, 스베틀라나 고르시코프는 주인공일 겁니다. 이 주인공이 소비에트 연방에 속하기 때문에,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가 이어지기 때문에, <마더 러시아>에서 어머니 자연-공산주의가 성립하나요? 제프 맥콤시가 이것을 의도했나요? 저는 이 만화를 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만화는 이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비록 제가 <마더 러시아>를 읽지 않았다고 해도, 이 만화는 어머니 자연-공산주의를 설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제프 맥콤시는 이것을 의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프 맥콤시는 저자입니다. <마더 러시아>는 작품입니다. 저자는 작품을 해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아무리 저자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해도, 김지연 작가에게서 <사랑하는 일>이 벗어나는 것처럼, 비록 저자가 어떤 것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작품에서 이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비록 제프 맥콤시가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현실에서 소비에트 연방은 어머니 자연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연구했습니다.

 

현실에서 김지연 작가가 <사랑하는 일>을 썼던 것처럼, 현실에서 제프 맥콤시는 <마더 러시아>를 그렸습니다. <마더 러시아>보다 현실은 우선합니다. 현실에서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가 이어지는 것처럼, 이 만화에서 어머니 자연과 공산주의는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록 김지연 작가가 인식하지 않았다고 해도, <사랑하는 일>에서 메간테레온은 진화했습니다. 이 사례처럼, 비록 제프 맥콤시가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마더 러시아>에서 어머니 자연-공산주의는 성립합니다. 어떤 만화 독자들은 이 만화가 좀비 아포칼립스라고 반박할 수 있습니다. 좀비 아포칼립스는 '다른 세계'입니다.



현실에서 좀비들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마더 러시아>는 좀비들을 묘사합니다. 현실과 이 만화는 다릅니다. 이 만화는 다른 세계입니다. 이 만화가 다른 세계이기 때문에, 현실과 달리, 이 만화에서 어머니 자연-공산주의는 성립하지 않는지 모릅니다. 흠, 이건 타당한 반박입니다. 비록 이 반박이 타당하다고 해도, 좀비들 이외에, <마더 러시아>는 현실을 모방하는 것 같습니다. 이 만화가 현실을 모방하기 때문에, 스베틀라나 고르시코프는 소비에트 여자 저격수입니다. 비록 <마더 러시아>가 다른 세계라고 해도, 소비에트 여자 저격수처럼, 이 만화는 100% 완벽한 다른 세계가 아닙니다.

 

게다가, 소비에트 여자 저격수가 아기를 보호하기 때문에, 이 만화 제목은 '마더 러시아'입니다. 동시에, '마더 러시아'는 모코쉬를 뜻할 겁니다. 슬라브 신화에서 모코쉬는 어머니 자연(여신)입니다. 현실에서 슬라브 신화가 모코쉬를 상상했기 때문에, 제프 맥콤시는 이 이중적인 제목을 의도했을 겁니다. 비록 <마더 러시아>가 너무 다른 세계라고 해도, 현실에서 모코쉬는 이 좀비 아포칼립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모코쉬가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현실에서 이 다른 세계는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현실에서 소비에트 연방은 어머니 자연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연구했습니다.

 

 

※ 김지연 작가가 <사랑하는 일>을 썼던 것처럼, 어떤 사람들에게 동성 연애는 평범한 일상입니다. 7월 1일, 오늘은 제24회 서울 퀴어 축제입니다. 차별들이 사라지고 많은 사랑들이 피어나는 미래가 찾아오기를 기원합니다.



※ 게임 <크로우폴> 컨셉 아트 출처:
https://www.crowfall.com/en-US/pantheon/GAEA

※ 사진 <Osprey Caught …> 출처: Mauricio Borja,
https://www.pexels.com/photo/osprey-caught-a-fish-929083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