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생태주의
<공룡의 시대>, 중세 문명 기사, 본질적인 교집합 본문
[이 서적은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가 본질적인 특성이라고 인정할 겁니다.]
"내가 앙터버를 앙~하고 물었을 때, 팥은 팟~하고 튀어나왔다." 으음…, 이 문장은 너무 썰렁한 농담입니다. 비록 이 농담이 그저 유치한 언어 유희에 불과하다고 해도, 팥 덕후들은 앙버터를 좋아할 겁니다. 적어도, 그들은 팥을 좋아합니다. 이 덕후들처럼, 문자 그대로, 앙버터는 팥 앙금을 포함합니다. 이 콩류 없이, 앙버터를 만들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비록 어떤 팥 덕후들이 앙버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양쪽에게 팥은 본질적인 교집합이 됩니다. 이 교집합과 달리, 아무리 어떤 버터 덕후들이 앙버터를 좋아한다고 해도, 팥은 본질적인 교집합이 되지 않습니다. 양쪽은 다릅니다.
비록 어떤 팥 덕후들이 앙버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버터 덕후들보다 그들과 이 먹거리에게 팥은 본질적인 교집합입니다. 비단 앙버터만 아니라 팥빙수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버터 덕후들과 팥빙수에게는 본질적인 교집합이 없습니다. 이 먹거리는 버터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팥빙수에서 이 유제품은 커다란 부분, 중요한 부분이 아닙니다. 버터와 달리, 문자 그대로, 팥빙수에서 팥은 아주 커다란 부분, 중요한 부분입니다. 비록 어떤 팥 덕후들이 팥빙수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들과 이 먹거리에게 팥은 본질적인 교집합입니다. 비단 팥빙수만 아니라 팥죽 역시 똑같습니다.
버터 덕후들과 팥죽에게는 본질적인 교집합이 없습니다. 이 먹거리는 버터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버터와 달리, 문자 그대로, 팥죽에서 팥은 아주 커다란 부분, 중요한 부분입니다. 비록 어떤 팥 덕후들이 팥죽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들과 이 먹거리에게 팥은 본질적인 교집합이 됩니다. 비단 팥죽만 아니라 <비비빅> 역시 똑같습니다. 아하~, 이 관점에서 앙버터, 팥죽, <비비빅>은 비슷한 위상입니다. 이 위상으로서, 세 가지들을 연결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팥 덕후들은 앙버터, 팥죽, <비비빅>이 비슷한 위상이라고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건 세 가지들이 100% 똑같다는 뜻이 아닙니다.
<비비빅>은 이른바 아이스 크림에 속합니다. 이 먹거리로서, <비비빅>, <월드콘>, <죠스바>, <구구 크러스터>, <녹차 마루>는 비슷한 위상이 됩니다. 만약 팥보다 아이스 크림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면, 팥죽보다 <비비빅>과 <구구 크러스터>는 비슷할 겁니다. 전자보다 후자가 비슷한 것처럼, 팥죽과 <비비빅>은 100% 똑같지 않습니다. 비단 <구구 크러스터>만 아니라 냉장고 역시 팥죽과 <비비빅>이 100% 똑같지 않다고 떨어뜨립니다. 냉장고 없이, 아이스 크림을 먹기는 너무 어렵습니다. 아무리 중세 문명이 샤베트를 먹었다고 해도, 냉장고 덕분에, 아이스 크림을 먹기는 훨씬 쉽습니다.
냉장고 없이, <비비빅>을 먹기는 너무 어렵습니다. 이게 너무 어려운 것처럼, 중세 문명과 <비비빅>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만약 어떤 팥 덕후들이 중세 문명에 속한다면, 그들과 <비비빅>은 어울리지 않을 겁니다. 비록 중세 문명에서 <비비빅>을 먹기가 너무 어렵다고 해도, 문자 그대로, 팥 덕후들은 팥을 사랑합니다. 그들이 팥을 사랑하기 때문에, <비비빅>에게는 본질적인 교집합(팥)이 있습니다. 이 아이스 크림처럼, 팥죽에게는 본질적인 교집합(팥)이 있습니다. 중세 문명에서 팥죽을 먹기는 쉽습니다. 비록 <비비빅>을 먹기가 어렵다고 해도, 팥죽은 이 먹거리를 대체(대신)할 수 있습니다.
비록 어떤 팥 덕후들이 중세 문명에 속한다고 해도, 비록 이 문명에서 <비비빅>을 먹기가 어렵다고 해도, 팥죽은 이 먹거리를 대신(대체)할 수 있습니다. 팥죽과 <비비빅>에게 본질적인 교집합(팥)이 있기 때문입니다. 중세 문명에서 팥 덕후들에게 팥죽은 <비비빅>을 대신하기 위한 먹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교집합(팥)은 냉장고를 넘어섭니다. 이 사례처럼, 팥은 시대적인 격차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비록 중세 문명이 냉장고를 개발하지 못한다고 해도, 본질적인 교집합으로서, 팥은 이 격차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오호라~, 팥은 비단 본질적인 교집합만 아니라 아주 기나긴 역사이기도 합니다.
중세 문명에서 팥죽이 존재하는 것처럼, 이 콩류는 아주 기나긴 역사를 자랑합니다. 인류 문명의 역사에서 냉장고보다 팥은 우선합니다. 이 기계가 나타나기 전에, 이미 이 콩류는 존재합니다. 후자보다 전자는 우선하지 않습니다. 20세기 이후, 냉장고는 나타났습니다. 아무리 냉장고 역사가 16세기를 포함한다고 해도, 이 역사는 1,000년을 넘어서지 않습니다. 냉장고와 달리, 곡물로서, 팥은 몇 천 년을 자랑합니다. 냉장고보다 팥은 훨씬 기나긴 역사입니다. 인류 문명의 역사에서 전자보다 후자는 훨씬 커다란 부분입니다. 적어도, 동아시아 문명의 역사에서 냉장고보다 팥은 훨씬 커다란 부분입니다.
팥이 아주 기나긴 역사를 자랑하기 때문에, 중세 (동아시아) 문명에서 이 콩류를 먹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이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비록 <비비빅>이 중세 문명보다 20세기 문명에 속한다고 해도, 팥죽은 이 먹거리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이게 가능한 것처럼, 비록 팥 덕후들이 20세기 문명보다 중세 문명에 속한다고 해도, 그들은 절망하지 않을 겁니다. 20세기 문명에서 팥 덕후가 되기가 가능한 것처럼, 중세 문명에서 팥 덕후가 되기는 가능합니다. 이게 가능한 것처럼, 본질적인 교집합으로서, 아주 기나긴 역사는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비단 <비비빅>만 아니라 <템플러 배틀포스> 역시 비슷합니다.
[대규모 우주선처럼, 아무리 <템플러 배틀포스>에서 향상된 기술들이 진보한다고 해도….]
<템플러 배틀포스>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스페이스 오페라입니다. 스페이스 오페라로서, <템플러 배틀포스>와 중세 문명은 비슷하지 않습니다. 아니, 양쪽은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스 오페라는 향상된 첨단 기술들에게 초점을 맞춥니다. 만약 이 기술들이 진보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대규모 우주선을 건조하나요?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우주(스페이스) 오페라에서 대규모 우주선은 전형적인 주제입니다. 이건 스페이스 오페라에서 향상된 첨단 기술들이 진보한다는 뜻입니다. <배틀포스>는 비슷합니다. 강화복부터 우주선까지, 이 스페이스 오페라는 향상된 첨단 기술들이 진보한다는 뜻입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이 기술들을 의도했습니다.
게임 플레이어들은 향상된 첨단 기술들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들이 진보하는 것처럼, <배틀포스>는 미래를 전망합니다. 과거보다 이 스페이스 오페라와 미래는 어울립니다. (강화복부터 대규모 우주선까지, 심지어 21세기 초반 기술들조차 이 기계들을 제작하지 못합니다. 현재보다 <배틀포스>와 미래는 어울립니다.) 이 스페이스 오페라와 달리, 중세 문명은 향상된 첨단 기술들을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강화복부터 대규모 우주선까지, 이 문명에서 이 기계들은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았던 것처럼, 중세 문명은 과거에 속합니다. 미래와 과거는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배틀포스>가 미래이기 때문에, 중세가 과거이기 때문에, 양쪽은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미래로서, 과거로서, 첨단 기술들로서, 오래된 시대로서, <배틀포스>와 중세 문명은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비록 양쪽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해도, 중세 (유럽) 문명에서 기사단은 존재했습니다. 비단 이 문명만 아니라 <배틀포스>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제목이 뜻하는 것처럼, <템플러 배틀포스>는 기사단을 묘사합니다. 이 스페이스 오페라에서 강화복 전사들은 미래 병사들보다 중세 기사들에 가깝습니다. 아무리 <배틀포스>에서 향상된 첨단 기술들이 진보한다고 해도, 아무리 이 스페이스 오페라가 미래를 전망한다고 해도, 강화복 전사들은 미래 병사들보다 중세 기사들에 가깝습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미래(강화복 전사)가 과거(중세 기사)를 반영하나요?
어쩌면 대답은 '아주 기나긴 역사'일 수 있습니다. 강화복부터 대규모 우주선까지, 중세 문명은 이 기계들을 제작하지 못합니다. 이 문명처럼, 21세기 초반, 이 기계들을 제작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비록 이게 가능하지 않다고 해도, 중세 문명과 달리, 21세기 초반, 많은 사람들은 향상된 첨단 기술들이 진보한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21세기 초반과 달리, 중세 문명에서 아무도 이 기술들이 진보한다고 상상하지 않았습니다. 이 관점에서 중세 문명과 21세기 초반 문명은 다릅니다. 전자보다 후자는 근대에 속합니다. 이 시대와 산업 시대는 비슷한 위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적어도, 산업 기술들은 향상된 첨단 기술들로 연결됩니다. 산업 혁명에서 이 기술들은 비롯합니다.
19세기는 산업 혁명이었습니다.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이 시대에서 산업 기술들은 진보했습니다. 이 기술들 덕분에, 20세기에서 첨단 기술들은 진보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기술들 덕분에, 소비에트 연방이 스푸트니크를 날렸던 것처럼, 인류는 우주를 올려다볼 수 있었습니다. 이게 가능했기 때문에, 소설부터 실사 영화까지, 만화부터 보드 게임까지, 문화·예술·허구들은 우주 문명을 상상할 수 있었습니다. 이게 가능했기 때문에, 소설부터 실사 영화까지, 만화부터 보드 게임까지, 스페이스 오페라는 대중적인 문화·예술·허구가 되었습니다. 이게 가능했기 때문에, 21세기 초반, 게임 제작자들은 <배틀포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근대에 속합니다.
스페이스 오페라로서, <배틀포스>는 근대 문명에 속합니다. 적어도, 이 비디오 게임은 산업 시대에 속합니다.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산업 혁명에서 이 시대는 비롯합니다. <배틀포스>에게 산업 혁명은 기원, 생산 조건이 됩니다. 적어도, 이 스페이스 오페라에게 이 시대는 아주 중요합니다. 만약 19세기가 산업 혁명이 아니었다면, 이 시대에서 산업 기술들은 진보하지 않았을 겁니다. 이 기술들 없이, 첨단 기술들은 진보하지 않습니다. 이 기술들 없이, 소비에트 연방은 스푸트니크를 날리지 못합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인류는 우주를 올려다볼 수 없습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음…, 스페이스 오페라는 대중적인 문화·예술·허구가 되지 않습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게임 제작자들은 <배틀포스>를 출시하지 않을 겁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은 것처럼, <배틀포스>에게 산업 혁명은 아주 중요합니다. 아무리 이게 중요하다고 해도, 19세기부터 21세기 초반까지, 산업 시대는 그저 200년을 넘어설 뿐입니다. 이건 너무 짧은 역사입니다. 적어도, 중세 문명보다 산업 시대는 너무 짧은 역사입니다. 후자와 달리, 전자는 1,000년에 닿습니다. 산업 시대와 달리, 5세기부터 15세기까지, 중세 문명은 1,000년에 닿습니다. 200년은 1,000에게 깝치지 못합니다. 인류 문명의 역사에서 산업 시대보다 중세 문명은 훨씬 커다란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배틀포스>에게 영향을 미칠 겁니다.
아무리 <배틀포스>에게 산업 혁명이 아주 중요하다고 해도, 19세기부터 21세기 초반까지, 산업 시대는 그저 200년을 넘어설 뿐입니다. 이건 너무 짧은 역사입니다. 산업 시대와 달리, 5세기부터 15세기까지, 중세 문명은 1,000년에 닿습니다. 200년은 1,000에게 깝치지 못합니다. 인류 문명의 역사에서 산업 시대보다 중세 문명은 훨씬 커다란 부분입니다. 이 부분으로서, 아마도 중세 문화는 <배틀포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모릅니다. 이 영향 때문에, 아마도 <배틀포스>에서 강화복 전사들은 미래 병사들보다 중세 기사들에 가까운지 모릅니다. 비록 게임 제작자들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분명히, 산업보다 중세는 우선합니다.
[훨씬 커다란 부분으로서, 아마도 <배틀포스>는 중세 기사를 모방하는지 모릅니다.]
이 관점에서 <배틀포스>는 냉장고와 다르지 않습니다. 이 기계가 너무 짧은 역사인 것처럼, <배틀포스>는 너무 짧은 역사입니다. 적어도, 이 스페이스 오페라에게 산업 시대는 아주 중요합니다. 이 시대는 그저 200년을 넘어설 뿐입니다. 이 역사와 달리, 중세 문명은 1,000년에 닿습니다. 이 문명은 아주 기나긴 역사를 자랑합니다. 적어도, 200년보다 1,000년은 훨씬 기나긴 역사입니다. 이 역사로서, 인류 문명에서 산업 시대보다 중세 문명은 훨씬 커다란 부분이 됩니다. 비단 이 문명만 아니라 팥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산업보다 중세가 우선하는 것처럼, 냉장고보다 팥은 훨씬 기나긴 역사입니다.
아무리 냉장고 역사가 16세기를 포함한다고 해도, 이 역사는 1,000년을 넘어서지 않습니다. 냉장고와 달리, 곡물로서, (동아시아 문명에서) 팥은 몇 천 년에 닿습니다. 산업 시대보다 중세 문명이 훨씬 커다란 부분이 되는 것처럼, (동아시아 문명에서) 냉장고보다 팥은 훨씬 커다란 부분이 됩니다. 이 부분 때문에, 비록 중세 문명에서 <비비빅>을 먹기가 너무 어렵다고 해도, 팥 덕후가 되기는 가능합니다. 중세 문명에서 팥 덕후가 팥죽을 먹을 수 있는 것처럼, 본질적인 특성으로서, 아주 기나긴 역사는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이 가치 때문에, 아마도 <배틀포스>는 중세 기사를 모방하는지 모릅니다.
비단 <배틀포스>만 아니라 <아홉 살에 처음 만나는 공룡의 시대>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이건 아이들을 위한 고생물학 서적입니다. 제목이 뜻하는 것처럼, <아홉 살에 처음 만나는 공룡의 시대>에서 이 선사 생명체들은 주된 주제입니다. 아드라티클릿은 이 생물종에 속합니다. 너무 애석하게도, 인간과 이 골판 공룡은 똑같은 시대에 속하지 않습니다. 인류가 나타나기 전에, 너무 애석하게도, 아드라티클릿은 사라졌습니다. 비단 이 골판 공룡만 아니라 다른 중생대 (비조류) 공룡들 역시 똑같습니다. 인류가 나타나기 전에, 스피노사우루스부터 디플로도쿠스까지, 이 생명체들은 사라졌습니다.
현실에서 고생물학자는 살아있는 아드라티클릿을 연구하지 못합니다. 이건 가능하지 않습니다. 현실에서 고생물학자는 오직 아드라티클릿 화석만 연구합니다. (게다가, 이 화석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아드라티클릿과 달리, 스피노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와 달리, 21세기 초반 오늘날, 생태학자는 살아있는 눈표범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이건 가능합니다. 고생물학자가 오직 아드라티클릿 화석만 연구하는 것처럼, 이 화석이 충분하지 않은 것처럼, 생태학자가 살아있는 눈표범을 연구하는 것처럼, 양쪽은 너무, 너~~~무 다릅니다. 지질학적인 격차는 아드라티클릿과 눈표범을 떨어뜨립니다.
중세 문명에서 <비비빅>을 먹기가 너무 어려운 것처럼, 이 아이스 크림보다 팥죽을 먹기가 훨씬 쉬운 것처럼, 시대적인 격차는 양쪽을 떨어뜨립니다. 중세 문명이 강화복 전사들을 상상하지 않았던 것처럼, 이 문명에서 판금 갑옷 기사들이 존재했던 것처럼, 시대적인 격차는 양쪽을 떨어뜨립니다.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어떤가요? <아홉 살에 처음 만나는 지구 마을 대표 동물들>은 아이들을 위한 생태학 서적입니다. 이 서적의 표지 그림은 눈표범을 보여줍니다. <아홉 살에 처음 만나는 지구 마을 대표 동물들>과 달리, <공룡의 시대>에서 중생대 자연은 주된 주제입니다.
눈표범은 이 시대에 속하지 않습니다. 중생대 자연과 달리, 인간과 이 판테라 동물은 똑같은 시대에 속합니다. 지질학적인 격차가 아드라티클릿과 눈표범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공룡의 시대>에서 중생대 자연이 주된 주제이기 때문에, <대표 동물들>의 표지 그림이 눈표범을 보여주기 때문에, 양쪽은 너무, 너~~~무 다릅니다.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시대적인 격차가 팥죽과 <비비빅>을 떨어뜨리는 것처럼, 이 격차가 중세 기사와 강화복 전사를 떨어뜨리는 것처럼,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눈표범보다 중생대는 과거입니다.
<대표 동물들>보다 <공룡의 시대>는 과거(중생대)를 설명합니다. 이 관점에서 팥죽, 중세 기사, <공룡의 시대>는 비슷한 위상이 됩니다. <비비빅>보다 팥죽은 과거입니다. 강화복 전사보다 중세 기사는 과거입니다. 비록 <비비빅>, 강화복 전사보다 팥죽, 중세 기사가 과거라고 해도, 비록 시대적인 격차가 양쪽을 떨어뜨린다고 해도, 중세 문명에서 팥 덕후가 되기는 가능합니다. <템플러 배틀포스>는 중세 기사를 모방합니다. 아주 기나긴 역사가 훨씬 커다란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공룡의 시대>, <대표 동물들>은 다르지 않습니다. 아드라티클릿은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에 속합니다.
생명 진화 역사에서 아드라티클릿보다 생물 다양성은 우선합니다. 만약 이 다양성이 진화하지 않았다면, 이 골판 공룡은 번성하지 않았을 겁니다.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 없이, 아드라티클릿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이건 가능하지 않습니다. 비단 아드라티클릿만 아니라 눈표범 역시 똑같습니다. 이 판테라 동물은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에 속합니다. 생명 진화 역사에서 눈표범보다 생물 다양성은 우선합니다. 만약 이 다양성이 진화하지 않았다면, 이 동물은 번성하지 않았을 겁니다. 아드라티클릿처럼,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 없이, 눈표범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이건 가능하지 않습니다.
[팥죽과 <비비빅>처럼, <공룡의 시대>와 이 고양이 동물은 연결됩니다.]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에서 아드라티클릿은 살아갑니다. 고생물학으로서, <공룡의 시대>는 이 사실을 인정할 겁니다. 이 골판 공룡처럼, 생물 다양성, 자연 생태계에서 눈표범은 살아갑니다. 생태학으로서, <대표 동물들>은 이 사실을 인정할 겁니다. <공룡의 시대>, <대표 동물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아드라티클릿, 눈표범에게 생물 다양성은 본질적인 교집합이 됩니다. 이 역사는 아주, 아~~~주 장대한 흐름입니다. 생명 진화 역사는 몇 억 년에 닿습니다. 심지어 몇 십 억 년조차 가능합니다. 본질적인 교집합이 아~~~주 장대한 흐름이기 때문에, 아드라티클릿과 눈표범은 연결됩니다.
곡물로서, (동아시아) 문명에서 냉장고보다 팥은 훨씬 커다란 부분(아주 기나긴 역사)입니다. 동시에, <비비빅>에게 팥은 본질적인 특성(재료)입니다. 이 관점에서, 시대적인 격차와 상관없이, 팥죽과 <비비빅>은 비슷한 위상이 됩니다. 이 위상 덕분에, 비록 중세 문명에서 <비비빅>을 먹기가 가능하지 않다고 해도, 팥 덕후가 되기는 가능합니다. 이 덕후처럼, 인류 문명에서 산업 시대보다 중세 문명은 훨씬 커다란 부분(아주 기나긴 역사)입니다. 이 부분으로서, 중세 기사는 <배틀포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팥 덕후처럼, <배틀포스>처럼,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연결됩니다.
아드라티클릿에게 생명 진화 역사는 본질적인 특성입니다. 이 특성은 몇 억 년에 닿습니다. 비록 눈표범과 아드라티클릿이 똑같은 시대에 속하지 않는다고 해도, 생명 진화 역사는 아~~~주 장대한 흐름(아~~~주 기나긴 역사)입니다. 이 관점에서, 지질학적인 격차와 상관없이,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연결됩니다. 팥죽과 <비비빅>이 비슷한 위상인 것처럼, <배틀포스>가 중세 기사를 모방하는 것처럼,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은 연결됩니다. 아무리 양쪽이 연결된다고 해도, 21세기 초반, 자연 생태계는 커다란 위기에 빠졌습니다. 기후 변화는 행성급 재앙입니다.
21세기 초반, 대규모 산업들은 너무 많은 온실 가스들을 배출합니다. 고기 산업부터 항공 산업까지, 가난한 사람들보다 부유한 사람들은 이 산업들을 소유합니다. 너무 많은 온실 가스들이 지구 가열화가 되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보다 부유한 사람들에게는 훨씬 무거운 기후 부채가 있습니다. 비록 전자보다 후자가 문제라고 해도, 세계화 자본주의는 지배적인 경제입니다. 이 경제에게 훨씬 많은 돈들은 가장 중요한 목적입니다. 이 목적을 위해 세계화 자본주의는 가난한 사람들보다 부유한 사람들을 편듭니다. 이 경제 때문에, 어휴~, 부유한 사람들은 훨씬 무거운 기후 부채를 회피합니다.
만약 세계화 자본주의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적어도, 만약 이 경제가 약해지지 않는다면, 부유한 사람들을 비판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지배적인 경제로서, 세계화 자본주의는 부유한 사람들을 편들고 기후 부채를 외면합니다. 이 경제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은 기후 피해자들이 됩니다. 비단 이 피해자들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아무리 생물 다양성이 <공룡의 시대>와 <대표 동물들>을 연결한다고 해도, 지구 가열화는 이 가치를 파괴합니다. 이 행성급 재앙은 자본주의 문제입니다. '<공룡의 시대>-<대표 동물들>'과 세계화 자본주의는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호랑이, 재규어, 표범과 달리, 작은 고양이 동물들은 판테라에 속하지 않습니다. 네 번째 사진의 동물을 판테라라고 분류하는 것은 제 실수였습니다. 이에 따라, 사진의 설명을 판테라 동물에서 고양이 동물로 수정했습니다.
※ 게임 <Templar Battleforce> 스크린샷 출처: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70020/Templar_Battleforce/
※ 사진 <Eurasian Lynx …> 출처: Miguel Cuenca,
http://www.pexels.com/photo/eurasian-lynx-walking-in-green-forest-18280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