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073)
SF 생태주의
아마 누구나 어렸을 적에 인상적으로 읽은 책들이 있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그런 책들 중 하나가 과 입니다. 이 글에서는 을 이야기하고 싶군요. 에드워드 에반스가 쓴 소설이죠. 저는 그걸 이른바 'SF 세계 명작' 시리즈를 통해 접했습니다. 지금은 저 책들을 구하기 어렵고, 직지 프로젝트를 통해 볼 수 있죠. 은 일종의 우주 탐험 소설입니다. 청소년 소설처럼 보이고, 내용은 간단합니다. 우주 항해가 일반화된 시대, 어느 가족이 우주선을 타고 탐사를 떠납니다. 이들은 새로운 행성을 발견하고, 그 행성에 자신들이 다녀갔다는 흔적을 남기고 싶어합니다. 만약 이 가족이 행성을 탐사하고 흔적을 남기면, 정부는 그걸 인정하고 보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순조로울 것 같은 여정은 사고에 부딪히고, 이 가족은 여러 갈등..
[스테고사우루스는 정말 독특하게 생겼습니다. 언제 이런 거대 육상 동물이 다시 나타날지….] 소설 은 이름 그대로 공룡 소설입니다. 원래 제목은 '한 시대의 멸종'이죠. 하지만 공룡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출판사가 저렇게 번역한 듯합니다. 제목이 멸종을 가리키는 것처럼 이 소설은 왜 공룡들이 멸종했는지 탐구합니다. 작가는 다양한 멸종 이론들을 비교하고, 아주 파격적인 과학적 상상력을 펼쳐요. 당연히 소설은 백악기를 배경으로 삼습니다. 왜 공룡이 멸종했는지 탐구하는 소설이 트라이아이스기나 쥐라기를 배경으로 삼는다면, 뭔가 좀 아귀가 맞지 않겠죠. 덕분에 이 소설은 백악기 공룡들을 묘사합니다. 티라노사우루스는 물론이고, 트리세라톱스나 파키케팔로사우루스나 각종 오리 주둥이 공룡들이나…. 아마 쥐라기 공룡을 좋아하..
[게임 의 한 장면. 문자 그대로 이건 생물학보다 생태학에 어울리겠죠.] 소설 에서 제일 중요한 인물이자 주인공은 생물학자입니다. 사실 생물학자는 이 소설 시리즈에서 가장 핵심적인 인물일 겁니다. 과 에서 생물학자는 주인공이 아니나, 주인공만큼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죠. 소설 3부작이 전반적으로 생물학자를 이야기한다고 봐도 될 겁니다. 작가 제프 밴더미어가 생물학자를 주인공으로 설정한 이유는 아마 생물학자가 울창한 야생과 잘 어울리기 때문일 겁니다. 공룡 소설에 고생물학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것처럼 울창한 야생을 탐험하는 소설에는 생물학자가 제격일 겁니다. 만약 소설 속에 공룡이 등장한다면, 작가는 그 공룡들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등장인물을 배치해야 할 겁니다. 독자들은 그 등장인물을 통해 공룡들에 ..
노벨상을 받은 화학자 파울 크뤼천은 '인류세'라는 개념을 주장했습니다. '인류세'라는 지질 시대를 특징적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21세기 현재 수많은 지구 생물들은 홀로세를 살아가는 중입니다. 하지만 이 홀로세에서 어떤 특징들이 두드러지기 시작합니다. 인류가 어마어마한 흔적을 남기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대기가 변하고, 핵 폐기물이 쌓이고, 엄청난 쓰레기들이 묻히고…. 인류는 지우지 못할 흔적들을 지구에 남겼고, 따라서 과학자들은 인류세라는 특정한 시기를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학계는 아직 이 인류세라는 개념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과학자들은 학계가 미래에 특정한 지질 시대를 구분할 거라고 예상하나, 그 지질 시대가 인류세가 될지 아무도 장담하지 못해요. 어떤 명칭이 붙을지 아직 아..
먹기 위해 사는가, 살기 위해 먹는가. 아마 누구나 이런 말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그만큼 뭔가를 먹는다는 행위는 우리 인류에게 중요합니다. 아니, 저런 문구를 들먹이지 않는다고 해도 뭔가를 입에 집어넣는 행위는 수많은 동물들에게 중요합니다. 영양분을 섭취한다는 행위는 모든 생명체들에게 중요합니다. 뭔가를 먹지 않으면,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면, 대부분 생명체들은 생존하지 못합니다. 자연 생태계는 수많은 에너지가 흐르는 상호작용이고, 그만큼 수많은 생명체들이 먹고 살기 위해 하나의 체계를 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뭔가를 먹는다는 행위는 다른 행위와 비교되지 못할 겁니다. 옷이 없거나 집이 없는 사람도 우선 뭔가를 먹어야 합니다. 뭔가를 먹지 않으면 살지 못합니다. 이토록 먹고 사는 행위가 중요하기..
인간은 꽤나 시각적인 동물입니다. 과거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동물들을 분류할 때, 유전자 개념을 이용하지 못했습니다. 당연히 두 눈만으로 동물들을 분류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종종 아리스토텔레스는 난관에 부딪혔어요. 서로 비슷하게 생긴 동물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가령, 아리스토텔레스는 물고기와 돌고래를 분류하기 위해 꽤나 고심했습니다. 허먼 멜빌이 '고래는 분수공으로 숨을 쉬는 물고기'라고 말한 것처럼 많은 사람들은 돌고래와 물고기가 똑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양쪽 모두 바다에 살고, 지느러미들이 있고, 몸매가 유선형이죠. 그래서 다들 돌고래와 물고기가 똑같은 종류라고 착각했습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물고기에게 아가미가 있고 돌고래에게 분수공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그래서 이 양반은 돌고래를 물고기..
[아라크니드처럼 SF 작가들과 판타지 작가들은 절지류들에게 부정적인 측면들을 쉽게 덮어 씌웁니다.] 판타지 소설답게 에는 여러 동물들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판타지 소설답게 이런 동물들은 말을 하고 사람만큼 똑똑하고 자기 성향이 있습니다. 곰이나 수리는 정의로운 자유민들을 도와줍니다. 소설 속에 곰이 직접 등장하지 않으나, 베오른은 곰으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곰이 진짜 모습이고 사람은 눈속임인지 모르죠. 빌보와 간달프와 소린 일행은 베오른을 인간으로서 만났으나, 빌보는 곰들이 회합하는 광경을 지켜봤죠. 수리들은 발라들을 상징하는 의롭고 신성한 동물들이고, 그래서 자주 간달프를 도와줍니다. 수리들은 상당히 여러 사건들에서 활약합니다. 1시대에는 날아다니는 화룡들과 싸웠고, 3시대에는 오상크에서 간달..
[공룡들이 사라졌기 때문에 공룡들을 찾아가는 이야기는 아득하고 신비롭고 재미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SF 작가들은 공룡들을 이야기했습니다. 사이언티픽 로망스가 기지개를 한창 폈을 때, 이미 아서 코난 도일이 를 썼죠. 이 소설은 초기 SF 작품으로 자주 언급되고, 덕분에 SF 소설이 초기부터 공룡을 이야기했음을 보여줍니다. SF 작가들에게 공룡은 여러 모로 매력적인 소재일 겁니다. 일단 공룡은 거대합니다. 뭐, 수많은 공룡들은 닭보다 크지 않았다고 하나, 분명히 집채만한 동물들이 존재했습니다. 알로사우루스는 몇 톤짜리 육식동물이었고, 브라키오사우루스는 아주 거대한 초식동물이었죠. 이른바 현대 문명인은 그런 동물을 볼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바다에서 고래나 고래상어를 볼 수 있으나, 브라키오사우루스를 육지..
수탈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사람들은 무슨 장면을 연상할까요. 아마 대부분 강자가 폭력적으로 약자에게 재산을 빼앗는 장면을 떠올릴 겁니다. 수탈이라는 단어는 이런 이미지를 연상시키죠. 폭력으로 재산을 빼앗는 그런 장면. 이런 수탈은 여전히 수많은 곳에 퍼져있고, 그래서 많은 빈민들과 야생 동물들은 헐벗고 굶주리고 고통을 당하고 심지어 죽음에 이릅니다. 하지만 이런 전통적인 수탈 이외에 다른 수탈이 있습니다. 그건 환경 오염이라는 폭력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환경 오염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이게 수탈이라는 사실을 머릿속에 떠올리지 않습니다. 그저 환경 오염은 우연히 발생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대기업이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튀어나오는 부산물이죠. 물론 이 세상에 악의적으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대기업..
[게임 의 한 장면. 포스트 아포칼립스와 폐허 탐험은 좋은 궁합입니다.] 소설 는 핵 전쟁 아포칼립스입니다. 특이하게 이 소설에서 북반구와 남반구의 상황은 서로 정반대입니다. 북반구의 강대국들이 전쟁을 벌인 까닭에 방사능 낙진이 북반구를 휩쓸었어요. 결과적으로 남반구는 안전하고, 북반구 인구가 절명했음에도 남반구 사람들은 평화롭게 지냅니다. 하지만 그 평화는 오래 가지 못합니다. 방사능 낙진이 남쪽으로 밀려오기 때문이죠. 그래서 남반구에 대피 중인 어떤 사람들은 북반구를 조사하기 위해 잠수함을 타고 출발합니다. 그 잠수함은 죽음과도 같은 고요한 세계를 떠돌고 문명의 붕괴를 확인하죠. 아마 잠수함 승무원들은 자신들이 낯선 세계를 탐험하는 중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사실 그 승무원들은 친숙한 고향땅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