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 평등 (206)
SF 생태주의
소설 는 사람들이 기본 소득을 받는 세상을 그립니다. 이 소설에 나오는 기본 소득은 21세기 좌파들이 생각하는 기본 소득과 많이 다릅니다. 가 상정하는 노동이 21세기 좌파들이 상정하는 노동과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소설이 제시하는 노동 조건은 굉장히 파격적입니다. 국가는 모든 사람에게 노동을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엄청나게 부여하고, 사람들은 수많은 기회들을 고를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체계 속에서 사람들은 돈을 지불할 때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서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사람들은 얼마든지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고, 다양한 작업들을 체험할 수 있고, 온갖 경험들을 쌓을 수 있어요. 게다가 노동 종류에 상관없이 기본 소득은 인간적인 삶을 보장합니다. 화장실을 청소하거나 접시를 닦..
소설 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은 뭘까요. 저는 주인공 쉐백이 술에 취하고 쓰러지는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소설에서 쉐백이 가장 자신을 주체하지 못하는 순간은 이른바 필름이 끊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소설 속에서 쉐백은 수많은 감성들을 느끼나, 필름이 끊어졌을 때, 쉐백은 아예 자신을 주체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후 소설은 다른 양상으로 흘러가고, 그래서 저는 이 장면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당신들에게는 벽이 있어!"라는 대사 역시 핵심적이라고 생각해요. 필름이 끊어지기 전에 쉐백은 어떤 여자와 만납니다. 사실 그 여자와 만나지 않았다면, 쉐백은 술에 취하지 않고 필름이 끊어지지 않았을 겁니다. 그리고 그 여자는 자본주의를 지지하는 여자였죠. 쉐백은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남자였..
[수많은 광고들, 광고들, 광고들. 이런 풍경은 아주 진부한 자본주의 디스토피아입니다.] 비디오 게임 은 사이버펑크 미래 도시를 묘사합니다. 이 게임은 같은 영화가 묘사한 미래 도시를 그대로 모방합니다. 길게 말할 필요는 없겠죠. 마천루들은 높게 하늘로 뻗었고, 유선형 자동차들은 도로를 누비고, 하늘은 흐리고, 비는 계속 도시를 적시고, 사람들은 각종 사이버웨어들을 달았고, 대기업들은 엄청난 부를 자랑하고, 빈민들은 비참하게 살아갑니다. 이런 도시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비밀 요원들을 조종하고, 각종 임무들을 해결합니다. 게임 플레이어들은 빈민들을 돕거나 도시의 새로운 지배자가 될 수 있어요. 비밀 요원들은 서로 다른 특징들을 자랑하고, 사격이나 암살, 기계 해킹, 무인기 조종, 장거리 저격, 나노 로봇 치..
많은 SF 독자들은 로버트 하인라인이 극단과 극단을 오가는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소설에서 하인라인은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듯하나, 에서 하인라인은 민족 자결주의와 자유로운 독립을 지지하는 듯합니다. 에서 인류 병사들은 남자들이나, 에서 사람들은 구시대적인 가족 관계에 연연하지 않아요. 따라서 SF 독자들은 하인라인이 극단과 극단을 오간다고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저는 로버트 하인라인이 일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버트 하인라인은 일관적으로 개인의 자유를 내세웠습니다. 같은 소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개인이 자유를 지키고 싶다면, 스스로 싸울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는 병영 문화를 예찬합니다. 중요한 점은 그 병명 문화가 자발적이라는 사실입니다. 인류 병사들은 스스로 입대했습니다. 아무도 강제로 끌려..
SF 장르를 논의할 때 SF 우월주의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SF 소설은 다른 환상 소설이나 주류 문학보다 우월한가? 많은 사람들은 여기에 동의할지 모릅니다. 어떤 SF 독자는 SF 작가가 거시적인 세계를 이야기하기 때문에 SF 소설이 다른 환상 소설이나 주류 문학보다 우월하다고 자랑할지 모릅니다. SF 소설이 환상 소설이나 공포 소설과 이웃이라고 해도, 장르 작가들과 평론가들과 독자들은 서로 비판하곤 합니다. (SF 울타리 안에서) 하드 SF 독자와 스페이스 오페라 독자가 싸울 수 있고, 서사 판타지 평론가가 스페이스 오페라 소설을 비난할 수 있고, 하드 SF 독자가 공포 소설을 무시할 수 있죠. 그런 사례는 드물지 않습니다. 특히, 하드 SF 소설들이나 모던 스페이스 오페라 소설들이 거창..
언젠가 이야기한 것처럼 사이버펑크 소설들은 '통 속의 뇌'라는 가정을 즐겨 이용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가상 세계에 갇혔다면, 그 사람은 가상 세계와 현실을 쉽게 구분하지 못할 겁니다. 그 사람은 자신이 진짜 사물을 보고, 진짜 냄새를 맡고, 진짜 맛을 느끼고, 진짜 소리를 듣는다고 생각할 겁니다. 유감스럽게도 그건 전부 착각입니다. 그 사람이 보고 맡고 느끼고 듣는 사물과 냄새와 맛과 소리는 전기적인 신호에 불과합니다. 가상 세계를 구현하는 중앙 처리 장치는 온갖 신호들을 보내고, 그 사람은 그저 전기적인 신호를 받을 뿐입니다. 만약 그 사람이 현실을 느끼고 싶다면, 그 사람은 기계에서 뛰쳐나와야 합니다. 하지만 기계가 계속 진짜 같은 신호들을 보내기 때문에 그 사람은 기계에서 함부로 뛰쳐나오지 못합..
[유감스럽게도 19세기 비경 탐험 소설들에는 이런 여자 탐사 대원들이 없었습니다.] SF 평론가들은 메리 셸리가 사이언티픽 로망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평가합니다. 은 그런 결과물이고요. 메리 셸리가 사이언스 픽션을 쓴다는 자각이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테크노 스릴러 작가처럼 메리 셸리는 인조인간 이야기가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다고 적었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사이언스 픽션이라는 장르를 쓴다는 자각이 없었을 겁니다. 나중에 쥘 베른이나 허버트 웰즈나 에드워드 벨라미 등은 자신들이 장르 작가임을 자각했으나, 메리 셸리는 그저 으스스한 소설을 썼을 뿐이죠. 그렇다고 해도 메리 셸리가 사이언티픽 로망스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한 장본인임을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겁니다. 그리고 메리 셸리는 여자죠. 흔히 사..
근대 이후 과학은 인류에게 새로운 이성과 계몽의 길을 열었습니다. (자연) 과학을 통해 사람들은 눈을 떴고, 과거의 구태의연하고 케케묵은 사상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이건 과학의 장점이나, 덕분에 사람들은 모든 것에 과학을 뒤집어 씌우기 시작합니다. 자신들의 주장을 그럴 듯하게 포장하기 위해 다들 과학으로 포장합니다. 흠, 이것 역시 과학 만능주의라고 할까요. 다들 자신들의 정치적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분명히 사회 과학적인 내용에 자연 과학의 포장지를 씌우곤 하죠. 는 진화 심리학과 성 차별을 논하는 책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은 성 차별을 진화적이고 유전적이고 태생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나, 이 책은 거기에 반박합니다. 오히려 이 책은 "성 차별이 문화적이고 후천적이고 사회적인 요소"라고 주장해요. 가령,..
SF 소설이 선사하는 가장 큰 재미는 무엇일까요. 아니, 비단 SF 소설만 아니라 사이언스 픽션이라는 장르가 선사하는 가장 큰 재미는 무엇일까요. 저는 인간 이외에 다른 생명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미생물이든, 식물이든, 동물이든, 아니면 우리가 생각하지 못하는 그 어느 생명체이든, 어쨌든 우리는 사이언스 픽션 속에서 여러 생명체들을 만날 수 있어요. 사실 우리 자신이 인간이기 때문에 우리는 대부분 인간만 이야기하고 인간과 어울리고 인간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인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인간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다른 생명체를 무시하거나 외면할 이유는 없습니다. 우리는 인간에게 집중하는 동시에 얼마든지 다른 생명체들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인간 문명만 떠받들 이유가..
사이버펑크 소설에서 사람들은 가상의 폭력을 즐기곤 합니다. 현실에서 살인은 돌이키지 못하는 죄악이나, 가상 현실 속에서 살인은 그저 전자 코드에 불과하죠. 가상 현실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은 다양한 폭력들을 저지르고, 그런 내용은 사이버펑크 소설을 장식하곤 합니다. 특히, 비디오 게임 시장이 엄청나게 발달한 21세기에 그런 사이버펑크 소설은 현실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일 겁니다. 사이버펑크가 죽었다는 선언만큼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과 가상 현실의 폭력은 비슷할지 모르죠. 솔직히 사람들에게 인기를 끄는 대중적인 비디오 게임들은 매우 폭력적입니다. 인기 순위 목록에서 상위권에 오른 게임들을 살펴보면, 뭔가를 죽이거나 파괴하는 비디오 게임들이 많습니다. 1인칭 사격 게임, 실시간 전략 게임,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