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괴수 (182)
SF 생태주의
[공룡들이 사라졌기 때문에 공룡들을 찾아가는 이야기는 아득하고 신비롭고 재미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SF 작가들은 공룡들을 이야기했습니다. 사이언티픽 로망스가 기지개를 한창 폈을 때, 이미 아서 코난 도일이 를 썼죠. 이 소설은 초기 SF 작품으로 자주 언급되고, 덕분에 SF 소설이 초기부터 공룡을 이야기했음을 보여줍니다. SF 작가들에게 공룡은 여러 모로 매력적인 소재일 겁니다. 일단 공룡은 거대합니다. 뭐, 수많은 공룡들은 닭보다 크지 않았다고 하나, 분명히 집채만한 동물들이 존재했습니다. 알로사우루스는 몇 톤짜리 육식동물이었고, 브라키오사우루스는 아주 거대한 초식동물이었죠. 이른바 현대 문명인은 그런 동물을 볼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바다에서 고래나 고래상어를 볼 수 있으나, 브라키오사우루스를 육지..
[질척거리고 꿈틀거리는 생체 우주선 렉스. 솔직히 이건 별로 유쾌한 우주선이 아니죠.] (내용 누설 덕분에) 이름을 밝히지 못할 어느 시간 여행 소설에는 화성인들이 등장합니다. 이 이름을 밝히지 못할 소설에 등장하는 화성인들은 좀 특이합니다. SF 소설 속에서 수많은 외계인들은 최첨단 기술 문명을 자랑합니다. 외계인들이 각종 최첨단 무기들로 인류를 공격하는 장면은 하품이 나올 정도로 상투적입니다. 고전적인 부터 같은 비디오 게임까지 대부분 그렇죠. 하지만 이 특이한 화성인들은 최첨단 기계 문명을 자랑하지 않습니다. 이 화성인들은 분명히 최첨단 문명을 자랑하나, 기계 공학은 그 문명을 떠받치지 않아요. 대신 그들은 생물 공학을 이용하죠. 아예 기계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신 수많은 동물들을 이용합니다. ..
[흔히 사이언스 픽션과 판타지에서 크라켄은 촉수 바다 괴수에 가깝습니다.] 어떤 뉴 위어드 소설에서 바다 괴수를 레비아탄 운운하는 걸 봤습니다. 장르 창작물들은 뭔가 거대한 대상을 가리킬 때 레비아탄에 자주 비유하고, 그래서 장르 창작물에는 이런저런 레비아탄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공중 전함도 레비아탄이 될 수 있고, 아주 거대한 초중전차도 레비아탄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 뉴 위어드 소설에서 바다 괴수를 레비아탄이라고 부른 것처럼 원래 레비아탄은 바다 괴수를 뜻하죠. 덕분에 장르 창작물에서 레비아탄은 크라켄과 함께 바다 괴수의 양대 산맥입니다. 레비아탄과 크라켄 중 뭐가 더 유명한지 모르겠습니다. 유명한 장르 창작물들을 모두 조사한다면, 레비아탄과 크라켄 중 뭐가 더 많이 등장하는지 알 수 있겠죠...
소설 에서 용들은 일종의 전투기로 등장합니다. 공군 병사들은 용에 타고, 용들은 하늘을 납니다. 병사들은 용 위에서 총을 쏘거나 폭탄을 던집니다. 일부 용들은 불을 뿜거나 독을 뿜을 수 있고, 심지어 엄청난 바람을 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함선을 공격하기도 합니다. 용의 불이 돛을 태우거나 화약고를 터뜨린다면, 함선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죠. 용을 이용하는 공군은 여러 나라에서 꽤나 중요한 전력이고, 용은 함선만큼 가치가 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함선이 상당한 전력을 상징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소설 속의 세계에서 얼마나 용의 위상이 대단한지 알 수 있죠. 문제는 이 소설의 시대 배경이 나폴레옹 전쟁이라는 겁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한창 다른 유럽 나라들을 침략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
[게임 의 컨셉 아트. 대왕 오징어는 크라켄을 낳을 수 있는 원본이죠.] 허먼 멜빌의 에는 거대한 흰 오징어가 나옵니다. 거대한 오징어의 비중은 그리 크지 않으나, 이 부분은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주인공 선원은 거대한 오징어를 보고, 바다의 수많은 비밀 중에서 하나가 드러났다고 생각해요. 게다가 일등 항해사 스타벅은 거대한 오징어를 바다의 악마라고 부르고, 거대한 오징어보다 차라리 모비 딕이 낫다고 이야기합니다. 거대 오징어의 출현 분량은 상당히 짧지만, 그래도 이 놈은 모비 딕과 비견되었죠. 한편으로 빅토르 위고의 에는 커다란 문어가 나옵니다. 이 문어는 거대한 오징어만큼 크지 않습니다. 원래 문어보다 오징어가 훨씬 거대하죠.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가장 거대한 두족류는 심해의 대왕오징어입니다...
[게임 예고편의 한 장면. 이런 모래벌레는 대표적인 가상 생태계 설정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이언스 픽션에서 좋아하는 설정 중 하나는 생태적 상상력이나 가상의 생태계입니다. 현실의 인류가 만날 수 없는 거대 괴수, 멸종한 동물, 개조 동물, 외계 괴물 등은 생태적 상상력의 대표입니다. 의 모래벌레, 의 신종 돌고래, 의 그 이상한 생명체가 그럴 듯한 사례입니다. 한편으로 생태적 상상력은 현재의 자연계가 어떻게 바뀔지 논할 수 있습니다. 예전부터 다양한 SF 작가들은 강대국의 산업 자본주의가 자연 생태계를 크게 파괴할 거라고 경고했고, 그런 경고는 비극적인 현실이 되었습니다. 작가들이 뛰어나게 예측했든 그저 우연이든 간에 암울한 생태적 상상력은 암울한 현실로 이어졌어요. 어쩌면 22세기에 가장 주목을 받는 ..
[게임 의 에테르 드레이크. 왜 이렇게 드래곤이 엄청난 인기를 누릴까요.] 드래곤은 검마 판타지의 인기 괴수입니다. 검마 판타지 작가들은 드래곤을 사랑하고 드래곤을 여기저기에 집어넣습니다. 여기저기에 드래곤들이 있죠. 전통적으로 드래곤은 무시무시한 악마였습니다. 하지만 몇몇 작가들은 드래곤을 영웅으로 만들었고, 그래서 드래곤은 악마가 되거나 영웅이 될 수 있습니다. 에 등장하는 글라우룽은 무조건 악마지만, 의 드래곤은 악당 오우거를 물리치는 영웅입니다. 게다가 이 드래곤(을 빙자한 인간)은 주인공입니다. 이렇듯 드래곤은 영웅과 악당으로 상당한 인기를 누립니다. 덕분에 SF 작품들은 검마 판타지에게서 슬쩍 드래곤을 빌려왔습니다. 드래곤의 명성이 너무 대단하기 때문에 SF 작가들은 이 괴수를 그냥 놔둘 수 ..
메리 셸리와 허버트 웰즈, 올라프 스태플든, 로버트 스티븐슨 등 초기 SF 소설가들은 이런저런 작품들에서 개조 생명체를 이야기했습니다. 따라서 19세기 이후 SF 장르가 개조 생명체를 줄기차게 써먹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개조 생명체는 나중에 거대한 생체 병기까지 발전합니다. 영어권 사람들은 이걸 '바이오 웨폰'이라고 부르는 것 같더군요. 하지만 생체 병기의 종류는 한 가지가 아닙니다. 이 세상에 작은 미생물부터 두루미나 왜가리를 거쳐 거대한 고래까지 사는 것처럼 생체 병기도 아주 미세한 것부터 거대한 것까지 존재합니다. 만약 어떤 군대가 상대 병사들을 없애기 위해 가상의 바이러스를 만든다면, 이건 생체 병기가 될 수 있습니다. 사실 현실에서 가장 위험한 생체 병기는 바로 이런 세균전이..
[이런 킹콩과 해골섬 이야기는 와 의 연장선에 가깝습니다.] 영화 사이트 IMDB는 의 장르를 액션, 모험, 판타지로 분류했습니다. 의 전작은 2014년 인데, IMDB는 이 영화의 장르를 액션, 모험, 사이언스 픽션으로 분류했죠. 똑같은 괴수물이고 전작과 속편이지만, 고지라는 사이언스 픽션이고 킹콩은 판타지라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분류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사람마다 장르라는 것을 다르게 정의하게 마련이고, 이 판타지든 사이언스 픽션이든 그건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닙니다. 괴수가 나오고 아슬아슬한 모험이 기다리고 관객들이 그걸 재미있게 즐겼다면, 장르가 판타지가 되든 사이언스 픽션이 되든 상관없는 일이죠. 그래도 저는 IMDB의 분류 방법에 살짝 딴죽을 걸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은 ..
드래곤은 검마 판타지의 대표적인 괴수입니다. 처럼 드래곤이 아예 판타지를 상징할 수 있죠. 하지만 SF 창작물들도 이런 드래곤을 그냥 놔두지 않았습니다. 드래곤이 워낙 인기 많은 괴수이기 때문에 SF 창작물조차 영입(?)하려고 애를 썼죠. 잭 밴스의 는 제목만큼이나 이런 시도가 엿보이는 소설입니다. 앤 매카프리가 쓴 역시 기사들이 외계 행성(!)에서 외계 돌연변이(!) 드래곤을 타고 다니죠. 중세 유럽 분위기를 외계 행성으로 옮겼다고 할까요. 혹은 처럼 대체 역사 쪽으로 흘러갈 수 있습니다. 이쪽은 나폴레용 전쟁이 배경이기 때문에 소총수들을 잔뜩 태운 용들이 군함들 사이로 비행하고 싸웁니다. 드래곤의 매력은 그 자체로 강대한 괴수의 대표 주자라는 겁니다. 게다가 불을 뿜고, 하늘을 날고, 매우 튼튼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