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SF 생태주의

<나인 이어즈>, 가이아 갑옷, 본질적인 가치 본문

SF & 판타지/신성한 녹색

<나인 이어즈>, 가이아 갑옷, 본질적인 가치

OneTiger 2025. 3. 22. 17:15

[가이아 갑옷 때문에, 이 주인공은 본질적인 가치를 휘날립니다.]



"엄마가 만들어주신 맛있는 음식을 보고 있다가, 싫어. 싫어. 안 먹을 테야. 투정꾸러기 미운 어린이~♬" 비록 미운 어린이가 먹거리를 거부한다고 해도, 이 등장인물은 인간입니다. 인간으로서, 미운 어린이는 동물(생명체)입니다. 동물로서, 물질대사(신진대사)에서 이 등장인물은 벗어나지 못합니다. 미운 어린이에게는 육체가 있습니다.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이 등장인물은 영양분들을 섭취해야 합니다. 영양분들을 섭취하기 위해 미운 어린이는 어떤 것들을 먹어야 합니다. 이 등장인물이 보리를 먹든, 녹두를 먹든, 상추를 먹든, 망고를 먹든, 먹거리 없이, 이 등장인물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비록 미운 어린이가 먹거리를 거부한다고 해도, 영양분들 없이, 이 등장인물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보리부터 상추까지, 녹두부터 망고까지, 살아가기 위해 미운 어린이는 어떤 것들을 먹어야 합니다. 비단 이 등장인물만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들 역시 똑같습니다. 살아가기 위해 인간은 어떤 것들을 먹습니다. 먹거리 없이, 인간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비단 인간만 아니라 다른 많은 동물들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작은 꿀벌부터 거대한 고래까지, 먹거리 없이, 동물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미운 어린이처럼, 작은 꿀벌부터 거대한 고래까지,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동물은 영양분들을 섭취해야 합니다.



만약 꿀벌이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영양분들을 섭취하기는 가능하지 않을 겁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꿀벌은 육체를 유지하지 못합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꿀벌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영양분들을 섭취하기 위해,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살아가기 위해, 꿀벌은 꽃가루들을 먹습니다. 이 작은 곤충처럼, 거대한 고래는 다르지 않습니다. 비록 고래보다 꿀벌이 너무 작다고 해도, 이 곤충이 꽃가루들을 먹는 것처럼, 고래는 크릴들을 먹습니다. 꿀벌이 꽃가루들을 먹는 것처럼, 고래가 크릴들을 먹는 것처럼, 먹거리 없이, 동물은 살아가지 못합니다. 이건 본질적인 규칙입니다.

 

"싫어. 싫어. 안 먹을 테야. 투정꾸러기 미운 어린이~♬" 그건 아닙니다. 꿀벌이 꽃가루들을 먹는 것처럼, 고래가 크릴들을 먹는 것처럼, 미운 어린이는 어떤 것을 먹어야 합니다. 만약 이 등장인물이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살아가기는 가능하지 않을 겁니다. 이게 가능하지 않은 것처럼, 먹거리는 본질적인 재화입니다. 먹거리와 달리, 의복은 본질적인 재화가 아닙니다. 아무리 의식주(衣食住)가 비단 먹거리만 아니라 의복 역시 포함한다고 해도, 의복 없이, 인간은 살아갈 수 있습니다. 비단 인간만 아니라 꿀벌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이 곤충은 치마를 입지 않습니다. 치마 없이, 꿀벌은 살아갑니다.



비단 꿀벌만 아니라 고래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비록 이 동물이 치마를 입지 않는다고 해도, 살아가기는 가능합니다. 고래처럼, 비록 미운 어린이가 치마를 입지 않는다고 해도, 이 등장인물은 죽지 않습니다. 치마와 달리, 만약 미운 어린이가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으음…, 살아가기는 가능하지 않을 겁니다. 이 관점에서 치마보다 녹두는 훨씬 중요합니다. 비단 의복만 아니라 주거지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아무리 의식주(衣食住)가 비단 먹거리만 아니라 주거지 역시 포함한다고 해도, 주거지 없이, 인간은 살아갈 수 있습니다. 인간처럼, 꿀벌은 똑같습니다. 이 곤충은 거대한 둥지를 건설합니다.

 

분명히, 꿀벌은 거대한 둥지를 건설합니다. 아무리 꿀벌 둥지가 거대하다고 해도, 이 곤충은 벌목에 속합니다. 이 동물종에서, 어떤 곤충들은 둥지를 건설하지 않습니다. 꿀벌이 벌목에 속하는 것처럼, 대모벌은 이 동물종에 속합니다. 꿀벌이 거대한 둥지를 건설하는 것처럼, 대모벌이 이 주거지를 건설하나요? 그건 아닙니다. 둥지 없이, 대모벌은 살아갑니다. 이 곤충처럼, 본질적으로, 둥지 없이, 꿀벌은 살아갈 수 있습니다. 대모벌(꿀벌)이 보여주는 것처럼, 주거지는 살아가기 위한 본질적인 규칙이 아닙니다. 비단 대모벌(꿀벌)만 아니라 고래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이 동물은 아무것도 건설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고래가 거대하다고 해도, 이 동물은 아무것도 건설하지 않습니다. 주거지 없이, 고래는 살아갑니다. 고래처럼, 비록 미운 어린이에게 주거지가 없다고 해도, 이 등장인물은 죽지 않습니다. 주거지와 달리, 만약 미운 어린이가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면, 으음…, 살아가기는 가능하지 않을 겁니다. 이 관점에서 주거지보다 먹거리는 중요합니다. 아무리 의식주가 비단 먹거리만 아니라 의복, 주거지 역시 포함한다고 해도, 후자와 달리, 오직 전자만 본질적인 재화입니다. 의복, 주거지와 달리, 오직 먹거리만 본질적인 재화입니다. 비싼 명품 치마, 화려한 아파트보다 작은 녹두는 본질적인 재화입니다.

 

(페미니즘) 철학자로서, 주디스 버틀러는 아주 유명합니다. 이 유명한 철학자가 붕어빵을 좋아하나요, 아니면 싫어하나요? 흠, 저는 알지 못합니다. 어쩌면 주디스 버틀러는 붕어빵을 좋아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아마도 이 철학자는 이 먹거리를 싫어하는지 모릅니다. 비록 주디스 버틀러가 붕어빵을 싫어한다고 해도, 이건 먹거리입니다. 꿀벌이 꽃가루들을 먹는 것처럼, 고래가 크릴들을 먹는 것처럼, 동물로서, 주디스 버틀러는 어떤 것들을 먹습니다. 저는 주디스 버틀러가 무엇을 선호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비록 제가 알지 못한다고 해도, 분명히, 저는 주디스 버틀러가 어떤 것들을 먹는다고 확신합니다.



[아무리 수분이 중요하다고 해도, 수분보다 보리, 녹두, 망고는 영양분들을 제공합니다.]



이 장면은 <나인 이어즈 오브 섀도우>의 스크린샷입니다. 유로파는 이 비디오 게임의 주인공입니다. 이 주인공은 여러 원소 갑옷들을 착용합니다. 이 갑옷들은 제우스, 포세이돈, 가이아, 헬리오스입니다. 원소 갑옷으로서, 제우스는 번개입니다. 제우스가 번개인 것처럼, 포세이돈, 헬리오스는 물, 불입니다. 이 관점에서 가이아와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는 다릅니다. 가이아가 식물(대지)이기 때문입니다. 유로파가 제우스 갑옷을 착용할 때, 번개는 이 주인공의 할버드를 장식합니다. 제우스 갑옷처럼, 유로파가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을 착용할 때, 물결, 불꽃은 이 주인공의 할버드를 장식합니다.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와 달리, 가이아 갑옷은 식물을 장식합니다.

 

유로파가 가이아 갑옷을 착용할 때, 식물은 이 주인공의 할버드를 휘감습니다. 번개는 생명체가 아닙니다. 아무도 번개가 살아있다고 인식하지 않습니다. (꿀벌, 고래와 달리, 번개에게는 육체가 없습니다.) 번개처럼, 물, 불은 생명체가 아닙니다. 아무도 물, 불이 살아있다고 인식하지 않습니다. (꿀벌, 고래와 달리, 물, 불에게는 육체가 없습니다.) 번개, 물, 불과 달리, 식물은 생명체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식물이 살아있다고 인식합니다. (꿀벌, 고래처럼, 식물에게는 육체가 있습니다.) 생명체로서, 식물과 번개, 물, 불은 다릅니다. 양쪽이 다르기 때문에, 가이아 갑옷과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은 다릅니다.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보다 가이아 갑옷은 생명체입니다.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의 속성들보다 가이아 갑옷의 속성은 식물(생명체)입니다. 이 속성으로서,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들보다 가이아 갑옷은 훨씬 중요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전자보다 후자는 본질적인 규칙을 암시합니다. 어랄라~,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떻게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들보다 가이아 갑옷이 본질적인 규칙을 암시하나요? 주디스 버틀러가 인간(동물, 생명체)이기 때문에, 물질대사에서 이 유명한 철학자가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비록 이 철학자가 붕어빵을 싫어한다고 해도) 분명히, 저는 주디스 버틀러가 어떤 것들을 먹는다고 확신합니다. 제가 확신하는 것처럼, 먹거리로서, 붕어빵은 본질적인 규칙에 속합니다.

 

밀가루, 팥은 붕어빵의 주된 재료입니다. 밀은 식물입니다. 밀처럼, 팥은 식물입니다. 밀, 팥이 식물인 것처럼, 붕어빵은 식물 기반 먹거리입니다. 비단 붕어빵만 아니라 보리, 녹두, 상추, 망고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미운 어린이가 보리를 먹든, 녹두를 먹든, 상추를 먹든, 망고를 먹든, 이건 식물입니다. 보리, 망고부터 밀, 팥까지, 식물들은 먹거리들을 선사합니다. 이건 인간이 오직 식물만 먹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삼계탕처럼, 돈까스처럼, 매운탕처럼, 인간은 비단 식물 기반 먹거리만 아니라 동물 기반 먹거리 역시 먹습니다. 아니, 많은 사례들은 인간이 붕어빵보다 돈까스에게 커다란 가치를 부여한다고 보여줍니다. 동물 먹거리는 훨씬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팥을 기르기보다 돼지를 키우기는 훨씬 어렵습니다. 식물보다 동물로서, 팥보다 돼지가 많은 에너지들을 소비하기 때문입니다. 이게 훨씬 어렵기 때문에, 팥보다 돼지 등심은 훨씬 비싼 먹거리가 됩니다. 전자보다 후자가 훨씬 비싼 먹거리이기 때문에, 붕어빵보다 돈까스는 훨씬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게다가, 팥보다 돼지가 많은 에너지들을 소비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식물 기반 먹거리보다 동물 기반 먹거리가 훨씬 많은 영양분들을 선사한다고 착각합니다. 존 맥두걸처럼, 아무리 영양분 전문가들이 동물 기반 먹거리를 비판한다고 해도, 이 착각을 수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류 문명에서 동물 기반 먹거리는 지배적인 관념입니다.

 

음, 아마도 포식자는 이 관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모릅니다. 재규어는 최고 포식자입니다. 최고 포식자로서, 이 야수는 강자입니다. 마야 문명이 재규어를 숭배하는 것처럼, 이 야수는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이 가치로서, 재규어는 왕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야수가 아마존의 왕이라고 인식합니다. 심지어 자연 다큐멘터리조차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의 살아있는 지구>는 넷플릭스의 자연 다큐멘터리입니다. 이 다큐멘터리에서 케이트 블란쳇은 재규어가 아마존의 왕이라고 비유합니다. 이 왕은 고기를 먹습니다. 재규어는 왕과 고기가 연결된다고 보여줍니다. 왕은 지배 계급입니다. 이건 지배 계급과 동물 기반 먹거리가 연결된다는 뜻입니다.



지배 계급과 동물 기반 먹거리가 연결되기 때문에, 아마도 식물 기반 먹거리보다 동물 기반 먹거리는 지배적인 관념이 되는지 모릅니다. 비록 이게 과학적인 분석보다 문화적인 해석이라고 해도, 분명히, 인간은 비단 붕어빵만 아니라 돈까스 역시 먹습니다. 아무리 인간이 고기를 먹는다고 해도, 동물보다 식물은 우선합니다. <우리의 살아있는 지구>에서, 아무리 케이트 블란쳇이 재규어가 아마존의 왕이라고 비유한다고 해도, 그 자체로서, 이 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규어는 영양분들을 생산하지 못합니다.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이 왕은 고기를 먹습니다. 고기를 먹기 위해 재규어는 카피바라를 사냥합니다.

 

영양분들을 섭취하기 위해 재규어가 카피바라를 사냥하는 것처럼, 그 자체로서, 이 동물은 영양분들을 생산하지 못합니다.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카피바라는 식물들을 먹습니다. 만약 식물들이 번성하지 않는다면, 카피바라는 굶주릴 겁니다. 만약 카피바라가 번성하지 않는다면, 재규어는 굶주릴 겁니다. 아무리 재규어가 왕이라고 해도, 이 왕은 카피바라에게 의지합니다.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초식동물로서, 카피바라는 식물들에게 의지합니다. 이 관계처럼, 먹이 그물망에서 동물보다 식물은 우선합니다. 비단 자연 생태계만 아니라 인류 문명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이 관점에서 돈까스보다 붕어빵은 우선합니다.



[아무리 헬리오스 갑옷이 뜨거운 불에 면역이라고 해도, 불은 생명체가 아닙니다.]



돈까스보다 붕어빵이 우선하는 것처럼, 동물 기반 먹거리보다 식물 기반 먹거리는 우선합니다. 전자보다 후자가 우선하는 것처럼, 먹거리로서, 식물은 본질적인 규칙입니다. 팥은 식물입니다. 보리부터 망고까지, 상추부터 녹두까지, 이 먹거리들은 식물에 속합니다. <나인 이어즈 오브 섀도우>에서 제우스 갑옷의 속성은 식물이 아닙니다. 비단 제우스 갑옷만 아니라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이 갑옷들과 달리, 가이아 갑옷의 속성은 식물입니다. 팥이 식물이기 때문에, 식물이 본질적인 규칙이기 때문에, 가이아 갑옷이 식물이기 때문에, 이 갑옷은 본질적인 규칙입니다.

 

적어도, 가이아 갑옷의 속성(식물)은 본질적인 규칙을 암시합니다. 이 관점에서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보다 가이아 갑옷은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만약 어떤 게임 플레이어들이 전자보다 후자가 훨씬 흥미로운 갑옷이라고 느낀다면, 본질적인 규칙은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건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보다 가이아 갑옷이 우월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물은 생명이다." 이 문장처럼, 수분은 아주 중요한 자원입니다. 수분 없이, 식물은 성장하지 못합니다. 비단 수분만 아니라 빛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불과 빛은 비슷한 위상입니다. 빛 없이, 어떻게 광합성이 가능할 수 있나요?



불빛이 어둠을 몰아내는 것처럼, 불과 빛은 비슷한 위상입니다. 문자 그대로, 광합성은 빛을 요구합니다. 식물에게 수분이 필요한 것처럼, 광합성이 빛을 요구하는 것처럼, 가이아 갑옷보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은 흥미로운 갑옷이 될 수 있습니다. (비록 포세이돈이 민물보다 바닷물의 신이라고 해도, <나인 이어즈 오브 섀도우>에서 포세이돈 갑옷의 속성은 비단 바닷물만 아니라 민물 역시 포함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가이아 갑옷보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이 흥미로운 갑옷이라고 해도, 인간은 빛(불)을 먹지 않습니다. 이건 가능하지 않습니다. 팥과 달리, 불(빛)은 먹거리가 아닙니다.

 

아무리 가이아 갑옷보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이 흥미로운 갑옷이라고 해도, 물보다 팥은 훨씬 많은 영양분들을 제공합니다. 이른바 '탄단지'는 3대 영양분들입니다. 육체를 유지하기 위해 인간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섭취합니다. (아무리 포세이돈 갑옷의 속성이 민물을 포함한다고 해도) 물은 탄단지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물과 달리, 팥은 탄단지를 제공합니다. 전자보다 후자가 3대 영양분들을 제공하는 것처럼,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보다 가이아 갑옷은 커다란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꿀벌부터 고래까지, 미운 어린이부터 재규어까지, 이 가치에서 아무도 벗어나지 않습니다.



꿀벌부터 재규어까지, 미운 어린이부터 붕어빵까지, 이 사례들은 제우스, 포세이돈, 헬리오스 갑옷보다 가이아 갑옷이 커다란 가치를 얻는다고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 갑옷의 속성이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비단 식물만 아니라 대지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유로파가 포세이돈 갑옷을 착용한 이후, 이 주인공은 인어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유로파가 헬리오스 갑옷을 착용한 이후, 높이 뛰기 위해 이 주인공은 불꽃을 터뜨릴 수 있습니다. 유로파가 가이아 갑옷을 착용한 이후, 이 주인공은 땅굴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어라~, 이유가 무엇인가요? 어떻게 가이아 갑옷이 식물과 땅굴을 연결하나요?

 

대지에서 새싹은 성장합니다. 보리, 망고부터 밀, 팥까지, 대지에서 식물들은 성장합니다. 전자에서 후자가 성장하기 때문에, 양쪽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식물이 대지에게 기반하기 때문에, 가이아는 '대지' 모신입니다. 대지 모신, 이 단어는 대지가 식물의 성장 조건이라고 반영합니다. 대지에서 새싹이 성장하기 때문에, 양쪽을 연결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보리, 망고부터 밀, 팥까지, 대지와 식물을 연결하기는 아주 쉽습니다. 이게 쉬운 것처럼, 유로파가 가이아 갑옷을 착용한 이후, 이 주인공은 땅굴을 통과합니다. 유로파가 땅굴을 통과하는 것처럼, 가이아 갑옷은 식물과 대지를 연결합니다.



(비록 주디스 버틀러가 싫어한다고 해도) 붕어빵은 본질적인 규칙에 속합니다. 적어도, 팥은 붕어빵의 주된 재료입니다. 이건 본질적인 규칙에 속합니다. 아무리 인간이 비단 붕어빵만 아니라 돈까스 역시 먹는다고 해도, 동물보다 식물로서, 돼지보다 팥은 우선합니다. 대지에서 이 식물은 성장합니다. 비단 팥만 아니라 보리, 상추, 망고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대지에서 본질적인 규칙은 성장합니다. 대지 모신, 이 단어가 반영하는 것처럼, 대지는 본질적인 규칙의 성장 조건입니다. 이 조건으로서, 비단 붕어빵만 아니라 대지 역시 본질적인 규칙에 속합니다. 음, 만약 이게 사유 재산이 된다면…?

 

만약 토지(대지)가 사유 재산이 된다면, 이건 본질적인 규칙이 사유 재산이 된다는 뜻일 겁니다. 어떤 사람들은 본질적인 규칙(의 생산 조건)을 소유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소유하지 못합니다. 이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됩니다. 가이아 갑옷은 토지(대지)가 사유 재산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반영합니다. 이 관점에서 자본주의 사회는 좋은 사회, 긍정적인 사회보다 나쁜 사회, 부정적인 사회입니다. 이 사회에서 사유 재산 제도가 너무 커다란 가치를 얻기 때문입니다. 다른 많은 것들이 상품들인 것처럼, 자본주의에게 토지(대지)는 그저 상품에 불과합니다. 이건 본질적인 규칙이 되지 못합니다.



[왜 가이아 갑옷이 식물과 땅굴(대지, 토지)을 연결하나요?]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자본론>을 썼습니다. 자본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이 서적은 다른 것들보다 상품을 분석합니다. <자본론>이 보여주는 것처럼, 자본주의에서 상품은 기본적인 단계입니다. 이 사회에서 많은 것들은 그저 상품들에 불과합니다. 대지(토지)는 다르지 않습니다. 다른 많은 것들이 상품들이 되는 것처럼, 자본주의에게 토지(대지)는 그저 상품에 불과합니다. 이건 본질적인 규칙이 되지 못합니다. 토지가 상품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이 상품을 소유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소유하지 못합니다. 특히, 자본주의에서 거대 자본가 계급은 대규모 토지를 소유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거대 '자본'가 계급은 지배 계급입니다. 그래서 자본주의는 '자본'주의입니다. 거대 자본가 계급은 소수입니다. 이 소수와 달리, 많은 무산자 민중들은 토지들을 소유하지 못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은 민중들보다 소수 자본가 계급은 대규모 토지를 소유합니다. 만약 갑이 토지를 소유한다면, 만약 을이 소유하지 못한다면, 토지가 본질적인 규칙(의 성장 조건)이기 때문에, 을은 갑에게 종속될 겁니다. 갑은 을을 지배할 겁니다. 아…, 이건 이른바 갑질입니다. 구조적으로, 자본주의는 갑질입니다. 이 사회에서 많은 무산자 민중들은 거대 자본가 계급(소수)에게 종속됩니다.



이 관점에서 자본주의와 공유지 경제(사회)는 대립적인 관계입니다. 이름이 뜻하는 것처럼, 공유지 경제(사회)에서 토지는 사유 재산이 아닙니다. 이건 상품이 되지 않습니다. 문자 그대로, 공유지 사회에서 토지는 사회적인 재화가 됩니다. 사회적인 재화로서, 많은 민중들은 이 본질적인 규칙을 소유합니다. 이게 가능하기 때문에, 자본주의보다 공유지 경제는 좋은 사회, 긍정적인 사회입니다. 자본주의와 달리, 공산주의에게는 공유지 경제가 되기 위한 높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가능성 때문에, 자본주의보다 공산주의는 훨씬 낫습니다. 가이아 갑옷은 공산주의가 훨씬 낫다고 암시합니다.

 

아, 물론, 가이아 갑옷 없이, 공산주의가 훨씬 낫다고 인식하기는 가능합니다. 가이아 갑옷은 공유지 경제를 주장하기 위한 필연적인 규칙이 아닙니다. 많은 좌익들은 대지 모신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비록 가이아 갑옷이 공유지 경제를 주장하기 위한 필연적인 규칙이 아니라고 해도, 현실에서 이 갑옷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이아 갑옷은 '다른 세계'에 속합니다. 현실과 달리, <나인 이어즈>는 '다른 세계'입니다. 비록 현실과 이 비디오 게임이 머나먼 관계라고 해도, 심지어 이 세계조차 식물과 대지를 연결합니다. 다른 세계로서, 가이아 갑옷은 양쪽이 연결된다고 '강조'합니다.



※ <와일드 파이어>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스팀 페이지 링크) <나인 이어즈>처럼, 이 비디오 게임에서 원소들은 커다란 부분입니다. 이 원소들은 화염(불), 수분(물), 대지(땅)입니다. 화염, 수분과 달리, 대지는 식물들을 조종합니다. <나인 이어즈>에서 가이아 갑옷이 식물과 대지(땅굴)를 연결하는 것처럼, <와일드 파이어>는 다르지 않습니다. <나인 이어즈>처럼, <와일드 파이어>는 식물에게 대지가 성장하기 위한 조건이라고 반영합니다. 이 조건으로서, <와일드 파이어>는 양쪽이 연결된다고 '강조'합니다. 이게 가능한 것처럼, <와일드 파이어>는 공산주의가 훨씬 낫다고 암시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