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생태주의
<프리저브>, 기술적인 자연, 동물 동료 본문
[이 '기술'은 비단 감각적인 '자연'만 아니라 역동적인 '자연'이기도 합니다.]
"Ma-ia-hii, ma-ia-huu. Ma-ia-hoo, ma-ia-haa. Ma-ia-hii, ma-ia-huu. Ma-ia-hoo, ma-ia-haa. Alo, salut, sunt eu un haiduc. Si te rog iubirea mea primeste fericirea. Alo, alo, sunt eu, Picasso. Ti-am dat beep si sunt voinic. Dar sa stii nu-ti cer nimic~♬" 이 가사에서 이른바 '마이야히, 마이야하'가 무슨 뜻인가요? 어떤 사람들은 이 단어가 전화기 소리(따르릉~)를 비유한다고 해석합니다. 이 해석이 타당한가요? '마이야히, 마이야하'가 이 소리를 비유하나요? 단 발란, 이 작사가가 이 비유를 의도하나요? 이 의도처럼, 오존(O-Zone)이 이 비유를 인식하나요? 흐음, 대답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마이야히, 마이야하'에게는 아무 의미가 없는지 모릅니다. 이 단어는 그저 음율을 위한 추임새에 불과한지 모릅니다. 비록 '마이야히, 마이야하'가 전화기 소리(따르릉~)를 비유하지 않는다고 해도, 단 발란은 이 기계가 무엇인지 인식합니다. 이 작사가처럼, 오존은 전화기가 무엇인지 인식합니다. 이 가수와 달리, 13세기 유럽 사람들은 이 기계를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비단 그들만 아니라 다른 문명 사람들 역시 똑같았습니다. 중국부터 이집트까지, 인도부터 사라센까지, 아즈텍부터 잉카까지, 13세기에서, 그들은 전화기가 무엇인지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이 인식은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13세기에서 전화기를 인식하기는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그들이 인식하지 않았다고 해도, 단 발란은 이 기계를 인식합니다. 이 작사가처럼, (비록 '마이야히, 마이야하'가 전화기 소리(따르릉~)를 비유하지 않는다고 해도) 오존은 전화기를 인식합니다. 비단 이 가수만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들 역시 똑같습니다. 21세기 초반, 많은 사람들은 전화기를 인식합니다. 이 인식처럼, 기술적으로, 인류 문명은 진보합니다. 기술들이 진보하기 때문에, 전화기를 제조하기는 가능합니다. 이 기계 덕분에, 비록 거리가 너무 멀다고 해도, 인간들은 대화할 수 있습니다. 전화기는 기술들이 진보한다는 뜻입니다.
비단 이 기계만 아니라 다른 많은 기계들 역시 똑같습니다. 의학부터 천문학까지, 물리학부터 인공 지능까지, 첨단 기술들이 진보하기 때문에, 인류 문명은 많은 것들을 이룩합니다. 만약 이 기술들이 사라진다면, 인류 문명은 중세 수준으로 퇴보할 겁니다. 적어도, 이 기술들 없이, 인류 문명은 계몽주의 수준으로 퇴보할 겁니다. 아무리 계몽주의가 인간 이성에게 초점을 맞춘다고 해도, 만약 인류 문명이 계몽주의 수준이 된다면, 이 수준은 퇴보일 겁니다. 아무리 장 자크 루소가 뛰어난 철학자라고 해도, 음…, 이 철학자는 컴퓨터를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장 자크 루소와 21세기 초반 사람들은 다릅니다.
<네버윈터 나이츠>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던전 탐험(서사 판타지)입니다. 이 던전 탐험은 컴퓨터를 요구합니다. 이 기계 없이, 이 정보·통신 기술들 없이, <네버윈터 나이츠>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21세기 초반에 속합니다. 이 시대와 달리, 계몽주의 시대에서 <네버윈터 나이츠>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음…, 비단 이 던전 탐험(서사 판타지)만 아니라 다른 비디오 게임들 역시 똑같습니다. <프리저브>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생태계 퍼즐 게임입니다. 이 생태계 게임은 컴퓨터를 요구합니다. 이 기계는 불가분의 도구입니다.
<프리저브>와 컴퓨터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기계 없이, 이 정보·통신 기술들 없이, <프리저브>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비디오 게임은 21세기 초반에 속합니다. 이 시대에서 첨단 기술들이 진보하기 때문에, <프리저브>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합니다. 이 진보처럼, <프리저브>는 기술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을 '기술'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합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이 단어를 부정하지 않을 겁니다. 비단 그들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어들 역시 똑같습니다. 그들은 <프리저브>가 기술이라고 인정할 겁니다. 적어도, 첨단 기술들 없이, 컴퓨터, 이 중요한 기계를 제조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기계 없이, <프리저브>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관점에서 이 비디오 게임과 첨단 기술들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양쪽이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비록 <프리저브>가 '기술'이라고 불린다고 해도, 이 단어는 어색하지 않을 겁니다. 이 비디오 게임처럼, <네버윈터 나이츠>는 똑같습니다. 첨단 기술들 없이, 컴퓨터, 이 중요한 기계를 제조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기계 없이, <네버윈터 나이츠>를 플레이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관점에서 이 던전 탐험과 첨단 기술들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비록 <네버윈터 나이츠>가 '기술'이라고 불린다고 해도, 이 단어는 어색하지 않습니다.
<프리저브>는 비단 기술만 아니라 '자연'이기도 합니다. 이 비디오 게임이 '생태계' 퍼즐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프리저브>에서 주된 주제는 자연 생태계입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이 체계를 의도합니다. 만약 그들이 자연 생태계를 의도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이 비디오 게임의 제목이 '프리저브'인가요? 이 단어와 자연 생태계를 연결하기는 어렵지 않을 겁니다. 여러 사례들, 특히, 환경 운동들은 프리저브와 자연 생태계가 연결된다고 증명합니다. 이 연결처럼, <프리저브>를 '자연'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적어도, 이 비디오 게임에서 주된 주제는 생태계입니다. 기술처럼, 양쪽은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이 던전 탐험에서, 드루이드는 '기술+자연'입니다. <프리저브>가 양쪽을 결합하는 것처럼.]
<프리저브>와 자연 생태계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게임 제작자들은 이 불가분의 관계를 의도합니다. 비단 그들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어들 역시 똑같습니다. 그들은 <프리저브>와 자연 생태계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해석처럼, <프리저브>를 '자연'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이 비디오 게임이 기술이기 때문에, 동시에, 이 비디오 게임이 자연이기 때문에, 양쪽은 결합합니다. 이 결합처럼, <프리저브>는 '기술적인 자연(technical nature)'이 됩니다. 이 자연은 새로운 자연입니다. 새로운 자연으로서, 계몽주의 시대에서, 장 자크 루소는 이 자연을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자연으로 돌아가라." 이 문장으로서, 이 철학자는 아주 유명합니다. 장 자크 루소가 이 문장을 말했나요?
장 자크 루소가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말했나요? 비록 이 철학자가 이 문장을 말하지 않았다고 해도, 많은 사람들은 이 철학자가 자연에게 초점을 맞춘다고 인식합니다. 아무리 장 자크 루소가 자연에게 초점을 맞춘다고 해도, 이 철학자는 <프리저브>를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계몽주의 시대에서 '기술적인 자연'을 인식하기는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비단 <프리저브>만 아니라 다른 비디오 게임들 역시 똑같습니다. 고전적인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부터 21세기 초반의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까지, 계몽주의 시대에서 아무도 '기술적인 자연'을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이 인식이 가능하지 않았던 것처럼, 기술적인 자연은 새로운 자연입니다. '비디오' 게임으로서, 이 자연은 동영상을 보여줍니다.
<프리저브>는 동영상을 보여줍니다. 비단 동영상만 아니라 음악, 소리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비디오 게임으로서, <프리저브>는 음악, 소리를 포함합니다. 동영상부터 소리까지, 오호~, <프리저브>는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이 자연과 달리, 아무리 어떤 서적들이 열대 밀림을 설명한다고 해도, 이 설명은 동영상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서적과 동영상은 머나먼 관계입니다. 캐롤린 머천트는 <자연의 죽음>을 썼습니다. 제목이 뜻하는 것처럼, 이 서적에서 자연 생태계는 커다란 부분입니다. <자연의 죽음>은 어머니 자연(대지 모신)이 무엇을 뜻하는지 분석합니다. 음…, 이 분석은 동영상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비단 동영상만 아니라 음악, 소리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자연의 죽음>은 어머니 자연(대지 모신)이 무엇을 뜻하는지 분석합니다. 음…, 이 분석은 음악, 소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관점에서 <자연의 죽음>은 감각적인 자연이 되지 않습니다. 적어도, 서적으로서, 비디오 게임으로서, <자연의 죽음>보다 <프리저브>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비단 이 서적만 아니라 다른 서적들 역시 비슷합니다. 리베카 긱스의 <고래가 가는 곳>부터 애슐리 도슨의 <멸종>까지, 린 콕스의 <바다 거북>부터 존 벨라미 포스터의 <마르크스의 생태학>까지, 이 서적들보다 <프리저브>는 감각적인 자연입니다. 비단 이 자연만 아니라 다른 비디오 게임들 역시 똑같습니다. <자연의 죽음>보다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는 감각적인 자연입니다.
<자연의 죽음>보다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는 감각적인 자연입니다. 이 서적처럼, 다른 서적들은 비슷합니다. 리베카 긱스의 <고래가 가는 곳>부터 애슐리 도슨의 <멸종>까지, 린 콕스의 <바다 거북>부터 존 벨라미 포스터의 <마르크스의 생태학>까지, 이 서적들보다 고전적인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 21세기 초반의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심지어 <싱커>조차 다르지 않습니다. 배미주 작가는 이 사이버펑크를 썼습니다. 아무리 <싱커>가 사이버펑크라고 해도, 서적으로서, 이 소설은 동영상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비단 동영상만 아니라 음악, 소리 역시 똑같습니다. <싱커>는 음악, 소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서적으로서, 비디오 게임으로서, <싱커>보다 <프리저브>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입니다. 심지어 <오로라>조차 다르지 않습니다. 킴 스탠리 로빈슨은 이 사이언스 픽션(SF)을 썼습니다. 아무리 <오로라>가 세대 우주선과 바이오스피어를 결합한다고 해도, 서적으로서, 이 소설은 동영상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비단 동영상만 아니라 음악, 소리 역시 똑같습니다. <오로라>는 음악, 소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서적으로서, 비디오 게임으로서, <오로라>보다 <프리저브>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비단 이 자연만 아니라 다른 비디오 게임들 역시 비슷합니다. <싱커>, <오로라>보다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입니다.
이 자연과 게임 플레이어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닙니다. 양쪽은 쌍방향 관계입니다. <프리저브>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자연 생태계를 창조합니다. 비단 이 비디오 게임만 아니라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쉘터 2>와 게임 플레이어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닙니다. 양쪽은 쌍방향 관계입니다. <쉘터 2>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엄마 스라소니를 조종합니다. 만약 게임 플레이어가 원한다면, 엄마 스라소니는 호수보다 산맥으로 향할 겁니다. 게임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초원보다 강물에서 이 야생 동물은 토끼보다 개구리를 사냥합니다. 이 사냥처럼, 게임 플레이어는 <쉘터 2>의 세계에게 참여합니다.
비단 <쉘터 2>만 아니라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 <내추럴 인스팅트>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게임 플레이어는 비디오 게임 세계에게 참여합니다. 이 참여는 게임 플레이어와 기술적인 자연이 일방적인 관계보다 쌍방향 관계라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과 달리, 아무리 독자들이 노력한다고 해도, 그들과 <자연의 죽음>은 쌍방향 관계가 되지 않습니다. 양쪽은 일방적인 관계입니다. 이 서적처럼, 리베카 긱스의 <고래가 가는 곳>부터 애슐리 도슨의 <멸종>까지, 린 콕스의 <바다 거북>부터 존 벨라미 포스터의 <마르크스의 생태학>까지, 이 서적들과 독자들은 쌍방향 관계가 되지 않습니다. 양쪽은 일방적인 관계입니다. 심지어 <싱커>조차 다르지 않습니다.
[흐음, <프리저브>, <쉘터 2>처럼, 드루이드가 기술적인 자연이 될 수 있나요?]
아무리 <싱커>가 사이버펑크라고 해도, 이 서적과 독자들은 일방적인 관계입니다. 심지어 <오로라>조차 다르지 않습니다. 아무리 이 소설이 세대 우주선과 바이오스피어를 결합한다고 해도, 이 서적과 독자들은 일방적인 관계입니다. <오로라>에서 독자들은 바이오스피어 생태계를 창조하지 않습니다. 이 소설에서 독자들은 아무도 조종하지 못합니다. <오로라>와 달리, <쉘터 2>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엄마 스라소니를 조종합니다. 이 비디오 게임처럼, <프리저브>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자연 생태계를 창조합니다. 이 창조는 <오로라>보다 <프리저브>가 역동적인 자연이라고 주장합니다.
<오로라>보다 <프리저브>가 역동적인 자연인 것처럼, <싱커>, <쉘터 2>는 다르지 않습니다. 전자보다 후자는 역동적인 자연입니다. 이 사례처럼, 기술적인 자연은 비단 감각적인 자연만 아니라 역동적인 자연이기도 합니다. 이 자연으로서, <프리저브>는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이 비디오 게임처럼, <심어스>, <오델 다운 언더>, <쉘터 2>, <내추럴 인스팅트>는 비슷합니다. 이 비디오 게임들은 커다란 가치를 얻습니다. 이 가치가 드루이드를 향하나요? 이 등장인물은 <네버윈터 나이츠>에 속합니다. 이 게임에서 드루이드는 주연 등장인물입니다. 이 등장인물은 자연의 힘을 휘두릅니다.
<네버윈터 나이츠>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비디오 게임과 첨단 기술들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관계로서, <네버윈터 나이츠>를 기술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비록 이 던전 탐험이 기술이라고 불린다고 해도, 이 단어는 어색하지 않을 겁니다. 비단 <네버윈터 나이츠>만 아니라 드루이드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만약 <네버윈터 나이츠>가 기술이라고 불린다면, 이 비디오 게임에서 드루이드가 주연 등장인물이기 때문에, 이 등장인물을 기술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적어도, 드루이드는 <네버윈터 나이츠>, 이 기술에 속합니다. 이 비디오 게임으로서, 양쪽은 연결될 겁니다.
비단 <네버윈터 나이츠>만 아니라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전자처럼, 후자는 비디오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던전 탐험(서사 판타지)입니다. 이 던전 탐험과 첨단 기술들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관계로서,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을 기술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이 기술에서 드루이드는 주연 등장인물입니다. 이 등장인물을 기술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적어도, 드루이드는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 이 기술에 속합니다. 이 비디오 게임으로서, 양쪽은 연결될 겁니다. 이 연결은 자연을 빠뜨리지 않습니다. 드루이드는 자연 성직자에 가깝습니다.
적어도,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는 자연의 힘을 휘두릅니다. 이 힘으로, 이 등장인물은 야생 동물들을 소환합니다. 이 소환처럼, 드루이드는 생물 다양성을 강조합니다. 비단 소환만 아니라 변신 역시 다르지 않습니다.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드루이드는 야생 동물들로 변신합니다. 이 변신은 드루이드가 생물 다양성을 강조한다는 뜻입니다. 이 의미처럼, 양쪽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관계처럼, 드루이드와 자연 생태계를 연결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이 연결처럼, 전자에게 후자는 아주 커다란 부분입니다. 아니, 드루이드에게 자연 생태계는 본질적인 부분일 수 있습니다.
드루이드에게 자연 생태계가 아주 커다란 부분(본질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이 등장인물을 자연이라고 부르기는 가능할 겁니다. 비록 드루이드가 자연이라고 불린다고 해도, 이 단어는 어색하지 않을 겁니다.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는 비단 기술만 아니라 자연이기도 합니다.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이 등장인물은 비단 후자만 아니라 전자이기도 합니다. <프리저브>가 기술과 자연을 결합하는 것처럼, 드루이드는 다르지 않습니다. 이 등장인물은 기술과 자연을 결합합니다. 이 결합으로서, 드루이드는 '기술적인 자연'이 됩니다. 이 자연은 훨씬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자연의 죽음>보다 <네버윈터 나이츠>는 동영상을 보여줍니다. 이 서적보다 이 비디오 게임은 음악, 소리를 포함합니다. 전자보다 후자에서 드루이드는 생물 다양성을 강조합니다. 이 강조로서, 이 등장인물과 자연을 연결하기는 쉬울 겁니다. <자연의 죽음>보다 <네버윈터 나이츠>가 동영상을 보여주고 음악, 소리를 포함하는 것처럼, 이 서적보다 드루이드는 훨씬 감각적인 자연이 됩니다. <네버윈터 나이츠>처럼,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은 똑같습니다. 이 비디오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드루이드를 조종합니다. 게임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드루이드는 야생 동물을 소환합니다.
만약 게임 플레이어가 원한다면, 드루이드는 흑곰보다 도마뱀을 소환할 겁니다. 이 파충류처럼, 게임 플레이어는 <템플 오브 엘리멘탈 이블>의 세계에게 참여합니다. 이 참여와 달리, <오로라>에서 소설 독자는 아무도 조종하지 못합니다. 아무리 이 독자가 노력한다고 해도, <오로라>에서 등장인물을 조종하기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조종이 가능하지 않은 것처럼, <오로라>보다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는 역동적인 자연입니다.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는 비단 감각적인 자연만 아니라 역동적인 자연이기도 합니다. <프리저브>, <쉘터 2>처럼.
[분명히, 드루이드는 생태계를 강조합니다. <프리저브>처럼.]
<네버윈터 나이츠>에서,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가 비단 감각적인 자연만 아니라 역동적인 자연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등장인물은 '기술적인 자연'입니다. 이 해석이 타당한가요? <프리저브>처럼, 드루이드가 기술적인 자연이 될 수 있나요? 어쩌면 이 해석은 타당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자연으로서, 어쩌면 드루이드와 <프리저브>는 비슷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이 해석은 그저 개인적인 의견에 불과한지 모릅니다. <프리저브>와 달리, 아마도 드루이드는 기술적인 자연이 아닌지 모릅니다. 비록 이 등장인물이 이 자연이 아니라고 해도, 분명히, 생물 다양성은 중요합니다.
비록 드루이드가 기술적인 자연이 아니라고 해도, 분명히, 이 등장인물은 생물 다양성을 강조합니다. 이 강조와 게임 플레이어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닙니다. 게임 플레이어가 원하는 대로, 드루이드는 흑곰보다 도마뱀을 소환합니다. 이 소환은 게임 플레이어와 동물 동료가 쌍방향 관계라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처럼, 드루이드는 기술과 자연, 자연과 기술을 결합합니다. 이 결합과 <프리저브>는 머나먼 관계가 아닐 겁니다. 비록 드루이드가 기술적인 자연이 아니라고 해도, 이 자연은 이 등장인물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위한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이유처럼, 양쪽은 어울릴 수 있습니다.
※ <프리저브>에서 주된 주제는 생태계입니다. 이 주제처럼,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는 생물 다양성을 강조합니다. 아무리 <프리저브>가 이 주제를 보여준다고 해도, 아무리 <엘리멘탈 이블>에서 드루이드가 강조한다고 해도, 21세기 초반, 자연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커다란 위기에 빠졌습니다. 세계화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경제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제는 돈벌이에게 집착합니다. 언제나, 세계화 자본주의는 너무 많은 돈들을 번다고 의도합니다. 이 의도 때문에, 이 경제는 '지속 가능한' 상품들보다 '너무 많은' 상품들을 원합니다. 이 상품들은 지구 가열화입니다.
너무 많은 상품들은 너무 많은 온실 가스들입니다. 이 가스들은 극단적인 기후들입니다. 이 기후들은 지구 가열화입니다. 이 행성급 재앙은 자연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이 파괴와 세계화 자본주의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 경제는 지구 가열화와 다르지 않습니다. 이 관계 때문에, 만약 환경 운동들이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기 원한다면, 이 운동들은 세계화 자본주의를 비판해야 합니다. 자연 생태계를 위해, 이 경제는 사라져야 합니다. 적어도, 이 경제는 약해져야 합니다. 우익보다 좌익은 자본주의를 비판합니다. 이 비판처럼, 환경 운동들은 오른쪽보다 왼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 사진 <… Reef Underwater> 출처: Ruben Galante,
http://www.pexels.com/photo/orange-and-black-fishes-near-coral-reef-underwater-4809065/